Vietnam.vn - Nền tảng quảng bá Việt Nam

탕롱-하노이 사람들의 성격

Báo Nhân dânBáo Nhân dân10/10/2024

하노이 사람들 의 생활 방식을 논할 때 많은 사람들이 흔히 인용하는 속담이 있습니다. "향기가 없어도 재스민이고, 우아하지 않아도 짱안 사람". 일부 문화 연구자들은 이 속담이 응우옌 꽁 쭈(1778-1858)의 까쭈 노래 "탄탕롱"에 나오는 "무우" 부분이라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이 속담이 탕롱 지방의 민요이며, 응우옌 꽁 쭈가 "탄탕롱"에 포함시켰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세련된 사람의 목소리는 또한 세련되고/성벽에서 부드럽게 울리는 종소리도 울린다"라는 속담이나 랑 마을의 민요 "채소를 수도로 나르는 세련된 사람 덕분이다"라는 말을 인용합니다. 랑은 탕롱 수도 서쪽, 또리치 강변에 위치한 마을로, 채소 재배로 유명합니다. 수도의 사람들이 세련되었듯이, 채소를 나르는 랑 마을 사람들도 세련될 수밖에 없습니다.

Cốt cách người Thăng Long-Hà Nội

하노이 문화관 호앙다오투이.

문화가 호앙 다오 투이(1900-1994)는 또릭 강변 루 마을 출신이지만 항 다오 거리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1954년 이전 하노이의 역사, 문화, 사회생활에 관한 많은 책을 저술했으며, 그중에는 1991년에 출간된 『우아한 하노이』도 있습니다. 그는 책에 이런 제목을 붙이기 전에 깊이 연구하고 면밀히 조사해야 했습니다. 우아함, 섬세함, 그리고 우아함은 문화적 삶의 방식입니다. 이러한 삶의 방식은 본능을 넘어 이성, 즉 자신과 공동체를 의식하는 의식에 도달했습니다.

사무엘 바론의 『통퀸 왕국에 대한 묘사』(1683년 출판)에는 탕롱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들이 거리에서 얼굴을 붉히고 술을 마시거나 술에 취해 누워 있는 모습은 보기 드물다." 병자들을 방문할 때, 그들은 "병세는 어떠십니까?"라고 직접적으로 묻지 않고, 매우 재치 있게 "최근에 밥을 몇 그릇이나 드셨습니까?"라고 묻는다. 바론의 아버지는 네덜란드인이고 어머니는 탕롱 출신이다. 그는 수십 년 동안 탕롱에 살았고,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오랫동안 일했다.

Cốt cách người Thăng Long-Hà Nội

1959년 뗏키호이를 맞아 하노이의 소녀들이 꽃시장에 가고 있다. (사진: VNA)

탕롱은 리 왕조부터 레 왕조까지 약 800년간 수도였으며, 면적도 넓지 않고 인구도 적었습니다. 수도에는 왕, 관리, 군인들이 거주했고,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은 무역, 서비스업, 수공예품 생산에 종사했습니다. 거리에서 관리와 군인들을 매일 마주쳤기에, 그들은 말투를 조심하고 신중하게 하여 문제를 피했습니다. 이러한 신중한 생활 방식은 여성들의 복장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통킹(Au Tonkin)"은 19세기 후반 "르 피가로(Le Figaro)" 기자 폴 보네탱(Paul Bonnetain)이 통킹과 하노이에 대해 쓴 기사들을 모은 책입니다. "하노이를 걷다(Walking through Hanoi)"라는 기사에서 그는 여성들의 옷차림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습니다. "겉으로는 칙칙한 색의 망토를 입은 여성들을 보았지만, 안은 매우 단정한 아오자이를 입은 여성들이 많았습니다. 밝은 색이 열 가지나 있었습니다."

제롬 리처드는 탕롱에서 18년간 거주한 영국인 신부였습니다. 그는 1778년에 출판된 "당응오아이 지역의 자연사, 시민사, 정치사 "(Histoire naturelle civile et politique du Tonkin)를 저술했습니다.

수도 탕롱의 생활 방식에 대해 그는 "엄격하고 질서 있는 의식을 지켰지만", 수도 외곽 지역은 "더욱 느긋했다"고 기록했습니다. 권력의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마을들은 "왕의 법이 마을의 관습보다 약했다"는 점에서 "탕롱 사람들은 불에 가까이 가면 얼굴이 화끈거리는 것을 느꼈다"는 것입니다.

리 왕조 이래로 금은 상점, 금속 농기구 제조 상점이 있었고, 왕실에는 왕실 행정 기구에 필요한 소비재를 생산하는 바흐탁 작업장이 있었습니다.

탕롱은 케초라고도 불립니다. 이 사업은 전적으로 여성들이 담당합니다. 상품을 판매할 때, 여성들은 능숙하지만 거짓 없이, 부드럽지만 설득력 있게 말하며 고객에게 신뢰를 구축합니다. 생활 방식은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아닙니다. 사회의 발전에 따라 법률, 왕의 칙령, 종교, 신념 등의 규제를 받습니다. 이러한 의무적인 조정은 점차 관습으로 자리 잡아 지역 사회와 공동체의 윤리적 기준을 형성합니다. 그러나 탕롱 사람들은 상류 수도에 사는 것이 자부심의 원천임을 알고 스스로 변화합니다.

일부 사람들은 우아한 생활양식이 봉건 지식인 계층에만 존재했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각 지방에서 과거시험에 급제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탕롱으로 가서 관리가 되었고, 이들 관리들은 그 생활양식에 의해 "탕롱화"되었다.

제롬 리처드는 수도의 한 부유한 사람에게 초대받은 식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주인은 매우 정중하고 친절했으며, 문 앞에서 정중하게 미소 지었습니다. 그는 저에게 돼지고기 롤을 내주었는데, 고르게 잘려 있어 꼼꼼하고 공정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식사 후, 주인은 입을 닦을 흰 수건과 손을 씻을 따뜻한 물이 담긴 대야를 주었습니다."

탕롱은 수도입니다. 1976년부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였습니다. 수도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농촌 지역 사람들과는 생활 방식이 다릅니다.

응우옌 왕조의 공식 역사서 『다이남특륵(大南剛錦)』의 제4기(第四期)에는 뜨득(Tu Duc) 왕이 하노이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대해 한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는 여섯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거만하고, 사치스럽고, 관대했다." 뜨득 왕은 해박한 지식을 갖춘 총명한 왕이었으며, 응우옌 왕조 역대 왕들(1848-1883) 중 가장 오랫동안 왕위에 있었으므로 그의 평가는 신뢰할 만합니다.

교만함은 정의를 존중하고 악을 미워하며 경쟁하지 않는 것입니다. 교만함 속에는 정의가 있습니다. 응우옌 왕조 시대에 하노이 출신으로 과거에 합격하여 고관이 된 사람들도 있었지만, "레(Le)를 존중한다"는 이념을 가진 학자들도 많았고, 응우옌 왕조와 "같은 자리에 앉지 않겠다"는 결의를 다졌습니다.

추반안의 모범을 따라 그들은 도시로 돌아와 학교를 열었는데, 레딘지엔, 부탁, 응우옌후이득 등이 그 예입니다. 응우옌시에우는 과거에 급제하여 한동안 관리가 되었지만, 관료 사회에 싫증이 나서 절을 올리고 명예와 부를 추구하다가 은퇴하고 프엉딘 학교를 열었습니다. 학자들은 학생들에게 지식, 특히 과도기 지식인들의 인격을 가르쳤습니다. 역사를 돌이켜보면, 고성 출신으로 관리가 된 사람은 거의 없었고, 고위 관리가 된 사람은 더욱 적었습니다.

탕롱-하노이에서는 남자들뿐만 아니라 여자들과 소녀들도 관대하고 자애롭습니다. 하노이의 옛 민요에는 "동탄은 너의 어머니 아버지/ 배고프고 옷이 부족하면 동탄으로 가라"라는 가사가 있습니다. 동탄 시장은 리 왕조 시대부터 존재해 왔습니다. 자연재해와 흉년이 들던 시절, 가난한 지역 사람들이 탕롱으로 몰려들었습니다. 그들은 시장에 가서 상인들과 시장 상인들에게 음식과 돈을 받았습니다.

뜨득 왕조 시대에 레티마이 여사는 지방 학생들이 무료로 머물 수 있도록 집을 지어주었습니다. 또한 가난한 학생들에게 쌀, 종이, 펜을 제공했으며, 왕은 그녀에게 "티엔뚝카퐁(Thien tuc kha phong)"이라는 칭호를 주었습니다. 1927년, 여러 여성들이 "누따이뚜(Nu tai tu)" 극단을 설립하여 오페라 하우스에서 "짱뜨꼬본(Trang tu co bon)"이라는 연극을 공연하여 홍수 피해를 입은 북부 지방 주민들을 위한 기금을 마련했습니다. 까목 여사(일명 호앙티우옌)는 무료 유치원을 열었습니다. 제방이 무너지자 거리의 여성 상인들에게 기부를 요청하고 젊은이들에게 구호 활동에 참여하도록 권유했습니다. 또한 거처가 없는 노인들을 위한 요양원도 설립했습니다. 그녀의 친절에 감동한 호찌민 대통령은 1946년 그녀를 북부 정부 궁으로 초대하여 차를 마시게 하고, 그녀가 계속해서 가난한 사람들을 돌봐주기를 바랐습니다.

사업과 오락에 능숙한 것 또한 하노이 사람들의 독특한 특징입니다. 레 왕조 시대에 봉티 마을은 꽃을 재배하여 "봉티 꽃밭"이라고 불렸습니다. 이곳에 오면 꽃을 감상할 뿐만 아니라 투이 쿠에 마을의 명물 연꽃주를 마시고, 까쭈를 즐기며, 가수들에게 가슴 뛰는 노래를 선사할 수 있었습니다. 유교 학자 팜딘호(1768-1839)의 저서 "부 쭝 뚜이 붓(Vu trung tuy but)"은 18세기 말 "레 왕과 찐 군주"가 권력을 놓고 다투던 시기의 탕롱 사회를 기록한 것입니다.

Cốt cách người Thăng Long-Hà Nội

하노이 구시가지의 뗏 시장.

팜딘호는 궁중 관리들의 악덕을 지적하며, 탕롱 사람들의 먹고, 놀고, 행동하는 삶의 방식을 칭찬했습니다. 꽃놀이 취미에 대해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 "탕롱 사람들에게 꽃놀이는 단순한 일상이 아닙니다. 꽃과 관상용 식물을 통해 인간의 도덕성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꽃놀이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 그들의 도덕성을 알 수 있습니다. 꽃놀이 방식에는 여전히 세속의 가르침과 천상의 관계가 담겨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꽃나무와 돌을 사용하여 고귀한 야망을 바칩니다."

1930년대 하노이 소녀들은 현대적인 생활 방식을 시작했습니다. 격식을 차리기 위해 가운데 가르마를 타지 않고 앞머리를 옆으로 빗고 반바지를 입고 꽝바 수영장에서 수영하기 위해 수영복을 입었습니다. 프랑스어를 배우고 일기를 썼습니다. 비록 새로운 생활 방식이었지만, 본질적으로 근대성은 여성에 대한 구사회의 가혹하고 잔혹한 처사에 저항하는 운동이었습니다.

하노이 여성들의 근대 운동은 베트남과 동남아시아에서 성평등을 요구한 최초의 운동이었습니다. 탕롱-하노이는 중산층이 많기 때문에 그들이 사치품을 많이 사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사치품은 지위를 과시하는 수단이기도 하며, "돈이 많아도 수천 년을 간다/돈이 적어도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속담의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Cốt cách người Thăng Long-Hà Nội

1926년 음력 8월 15일, 항가이 거리에서 장난감을 판매하고 있다. (사진: 베트남 사회과학원)

탕롱은 사방이 하나로 모이는 곳으로, 후대 사람들은 선대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따릅니다. 어떤 사람들은 프랑스 문명과 문화가 우아함을 낳았다고 생각합니다. 외국 문화가 탕롱의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오히려 우아함을 더욱 강조할 뿐입니다. 생활 방식, 예의범절, 그리고 품격은 불변의 가치가 아니라 오늘날 하노이의 경제와 사회에 맞춰 변화하는 것이지만, 그 고유한 특성에 따라 변화합니다.

난단.vn

출처: https://special.nhandan.vn/cot-cach-nguoi-Thang-Long-Ha-Noi/index.html

댓글 (0)

No data
No data
푸토의 계단식 논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심기 전 거울처럼 밝고 아름답습니다.
Z121 공장, 국제 불꽃놀이 마지막 밤 준비 완료
유명 여행 잡지가 손동 동굴을 '세계에서 가장 웅장한 동굴'이라고 칭찬했습니다.
서양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신비로운 동굴, 탄호아의 '퐁냐 동굴'과 비교돼
빈히만의 시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세요
하노이에서 가장 비싼 차는 1kg당 1,000만 동이 넘는데, 어떻게 가공하나요?
강 지역의 맛
베트남 바다 위로 펼쳐지는 아름다운 일출
투란의 장엄한 동굴 호
연꽃차 - 하노이 사람들의 향기로운 선물

유산

수치

사업

No videos available

소식

정치 체제

현지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