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 부이 더 두이 차관에 따르면, 인공지능은 의학을 포함한 많은 분야에서 더 효과적으로 발전하고, 의사들이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많은 사례에서 얻은 경험을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 정보는 베트남 과학기술부 와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6월 9일 오전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한국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협력 및 파트너십 포럼 2023에서 개회사를 통해 공유되었습니다. 이 포럼은 베트남과 한국 간 인공지능 및 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분야에서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공동 개발 협력을 촉진하고, 이 분야에서 양국의 제품을 전시하고 기업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두이 차관에 따르면, 빅데이터 개발은 수백만 명의 전문가와 과학자 로부터 얻은 중요한 교훈을 통합하여 연구를 더욱 편리하게 만들었습니다. 각 전문가는 하나의 두뇌만으로 하나의 연구를 수행하게 되지만, AI의 지원이 있다면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수많은 전문 의사들의 경험을 통합하고, 사례와 치료법을 축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이 더 두이 차관은 6월 9일 오전 행사에서 개회사를 했습니다. 사진: TTTT
그는 베트남과 한국이 AI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개발을 위한 협력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양국이 보건 문제 대응이라는 목표를 향해 협력하기를 기대하며, 이번 포럼에서의 논의와 정보 공유를 통해 국민의 보건 의료 증진 및 개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교류와 협력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했습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베트남 과학기술부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기술 진흥을 선도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의료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고 말했습니다. 박 차관은 이번 포럼을 통해 양국이 미래 공중보건 구축에 기여하는 디지털 전환과 활용 사례의 중요성을 공유하기를 희망합니다.
이번 행사를 디지털 전환의 미래를 새롭게 조망하는 자리로 설명하며, 한국 측은 의료 분야의 디지털 전환 개발, 전문가 및 기업 교육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촉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 사장은 "베트남과의 정책 수립, 사업 추진 및 지원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강화하여 한국 기업들이 베트남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박윤규 씨가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 득빈
포럼에서는 헬스케어 분야의 전문가, 과학자, 한국 및 베트남 기업 대표 등으로 구성된 발표자들이 헬스케어 분야의 AI 개발 응용 프로그램을 다수 공유했습니다.
하노이 의과대학 병원장인 응우옌 란 히에우 부교수는 원격 진료 기술(진료에 참여하는 많은 의사와 환자들의 디지털 진단을 수집하는 플랫폼)이 전국 250개 이상의 병원에 적용되어 수천 건의 환자를 치료했다고 밝혔습니다. 히에우 부교수에 따르면, 원격 진단 및 결과 판독은 각 병원 간의 연결을 구축했으며, 간단한 기계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팬데믹 기간 동안 그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그는 AI 모델 연구 개발이 당뇨병 치료에도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KT PoC Progress 방식과 AI 스크리닝 프로그램은 2,0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테스트되었습니다. AI를 활용하면 연령, 체질량 지수, 병력 등의 매개변수 수집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의사의 스크리닝 및 최종 결과 도출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부 환자의 치료 결과, AI 활용을 통해 혈압 관리 효과가 7~8%, 혈당 관리 효과가 10% 향상되었으며, 입원율과 합병증 발생률이 최대 1.5~4.3배 감소했습니다.
베트남 국립암연구소 쩐 티 탄 흐엉 소장은 AI 진단 지원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이 갑상선암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초음파 영상, 세침흡인검사, 수술 결과 등 통합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여 검진을 지원하고, 환자의 수술 필요 여부를 판단하며, 종양 특성을 예측하는 AI 모델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부이 더 두이(Bui The Duy) 차관(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박윤규(Park Yun Gyu) 차관(오른쪽)이 6월 9일 오전 의료 분야 AI 기술 및 장비 전시 부스를 방문했다. 사진: 득빈(Duc Binh)
한국 측에서는 "인공지능으로 암 정복"을 목표로 하는 AI 기업 루닛(Lunit)의 조경식 대표가 유방암 치료에 적용되는 엑스레이 영상 분석 솔루션을 소개했습니다. 이 솔루션은 최대 96%의 정확도로 악성 종양을 검출하는 데 도움이 되는 AI 유방촬영술 분석 솔루션입니다.
조 씨에 따르면, 이 솔루션은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여 18만 장 이상의 고품질 흉부 엑스레이 이미지를 판독하여 이미지를 인식하고, 악성 병변이 의심되는 부위를 수치 형태로 검출하여 진단을 지원합니다. 또한, 이 솔루션은 폐암, 폐렴, 결핵, 기흉 등 흉부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크레스콤 이재준 대표는 근골격계 영상에 사용되는 골격계를 자동으로 측정하여 성장 속도의 빠름 또는 느림을 분석하고, 아동의 조기 사춘기 위험 여부를 예측하는 AI 솔루션을 소개했습니다. MediAI-BA(AI 하이브리드 골연령 분석 솔루션)는 AI를 활용하여 뼈 부위별 의료 영상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상세한 결과를 제공합니다. AI는 약 6초 이내에 각 부위의 골 성숙도를 분류하고 분석값을 제공하여 전문의의 진찰 및 진단을 지원합니다. 임상 결과, MediAI-BA를 사용했을 때 AI 모델의 정확도가 2.5배 향상되었습니다. 이 제품은 현재 국내 250여 개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뇌졸중 치료, 뇌경색 병변 탐지, 피부 인식 기술, 스마트 안진 진단 등 다양한 AI 솔루션을 보유한 한국 기업의 AI 제품 및 장비를 전시하는 20개 부스 전시회도 개최됩니다. 포럼은 내일인 6월 10일에 마감됩니다.
누 퀸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