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8일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연설한 빌 넬슨은 베이징 우주인들이 먼저 달 남극에 도착할 경우 중국이 달 남극을 점령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물론, 중국이 먼저 사람을 남극에 보낸 후 그곳을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는 것은 원치 않습니다."
달의 남극을 향한 경쟁
넬슨 씨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달 남극에 갇힌 얼어붙은 물 지역에 누가 가장 먼저 도달할지 경쟁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국제 사회의 이익을 보호해야 합니다. 미래의 승무원과 우주선에 사용될 수 있는 풍부한 물이 발견된다면, 물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라고 넬슨은 덧붙였다.
많은 국가들이 달의 남극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 게티)
달 남극의 잠재적인 착륙 지점과 자원 활용은 제한될 수 있다. 위성 사진에 나타난 지형이 이전 임무에 선택된 지역과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남극 사진은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착륙했던 곳과는 전혀 다릅니다. 달의 남극은 깊은 크레이터로 가득 차 있습니다. 태양의 각도 때문에 대부분의 크레이터는 완전히 그림자에 가려져 있어 육지 면적이 크게 줄어듭니다."라고 넬슨은 말했습니다.
하지만 싱크탱크인 시큐어 월드 재단(Secure World Foundation)의 프로그램 기획 책임자이자 우주 정책 전문가인 브라이언 위든은 미국과 중국이 "경쟁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달에 가는 나라가 미국과 중국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달에 가는 나라들이 많기 때문에 경쟁이 아닙니다."
달의 남극은 광활하여 여러 팀이 탐사하기 에 충분한 공간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는 먼저 달에 도착하는 사람이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NASA 국장의 제안을 일축하며, "누가 먼저 달에 도착하든 다른 나라들이 계속 달에 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2030년까지 우주인을 달에 보내기 위해 발사체와 우주선을 개발해 왔습니다.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 달 연구 기지와 미국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은 모두 달의 남극 지역에 인간이 상주할 수 있는 영구 기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러시아-인도, 달 착륙 우주선 발사
한편, 러시아와 인도는 달 탐사선을 이용해 달 표면의 물 흔적을 탐사하는 최초의 국가 자리를 놓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루나 25호와 인도의 찬드라얀 3호는 모두 8월 23일 달에 착륙할 예정입니다.
러시아가 약 50년 만에 달 정복을 위한 우주선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출처: Roscomos)
모스크바 시간으로 8월 11일 오전, 러시아 연방우주청(Roscosmos)이 루나-25 우주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여 모스크바 달 탐사 프로그램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습니다. 이는 1976년 이후 47년 만의 러시아 최초의 달 탐사이기도 합니다.
루나-25는 8월 21일에 달의 남극에 착륙할 예정이다. 이 우주선은 인간이 도달하지 못한 지역을 탐험할 것이다.
모스크바의 성공적인 발사에도 불구하고, NASA 수장은 러시아를 우주 경쟁의 경쟁자로 폄하하며, 2030년 이전에 우주인을 달에 착륙시킬 준비가 되었는지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NASA는 또한 NASA 최초의 유인 달 탐사를 기념하는 4인 승무원으로 구성된 아르테미스 2호 임무의 진행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이 임무는 2024년에 발사될 예정입니다. 또한 "달에 지속적인 유인 거주"를 구축하기 위한 다국적 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발사가 될 것입니다. NASA의 아폴로 임무는 1972년 달 착륙에 성공했습니다.
플로리다 발사대에 있는 SLS 로켓과 오리온 우주선이 아르테미스 1호 임무 수행 중. (사진: 게티)
위든에 따르면, 달에 도달하기 위한 국가 간 경쟁보다 훨씬 더 중요한 문제는 국가들이 국제법을 동일하게 해석하는지 여부입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우주 조약은 종종 매우 광범위한 원칙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28개국이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
아르테미스 협정은 2020년 10월 13일, 우주의 평화 적이고 협력적인 이용을 목표로 미국, 호주, 캐나다, 일본,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영국, 아랍에미리트(UAE) 등 8개국이 서명하면서 발효되었습니다. 2020년 11월에는 우크라이나가 협정에 가입했고, 2021년 5월에는 한국이 10번째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2021년 6월에는 뉴질랜드와 브라질이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지금까지 28개국이 미국이 주도하는 아르테미스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중국은 NASA가 중국과 양자 협정을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협력에 참여하도록 초대받지 못했습니다. 러시아는 미국이 주도한 협정이 " 정치화 "되었고 "지나치게 미국 중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일, 프랑스, 인도 등 다른 국가들도 우주 자원은 어느 나라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없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이 조약을 거부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은 이 협정이 달에서의 활동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해 왔습니다. 이 조약은 어떤 국가도 달 영토에 대한 주권을 주장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달 얼음의 채굴, 소유 및 사용권과 같은 우주 자원에 불수용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는 명시하지 않았습니다.
위든의 견해에 따르면, "달 경쟁"이라는 개념은 부분적으로는 중국의 우주 강국으로서의 급속한 부상에 대한 국제적 우려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오랫동안 미국은 우주 기술에서 중국보다 앞서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 그렇지 않습니다. 미국의 비교 우위는 줄어들고 있으며, 사람들은 언젠가 그 우위가 완전히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또한 중국이 우주 역량을 다른 국가에 영향을 미치고 세계적인 영향력을 구축하기 위한 일종의 "소프트 파워"로 이용하고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베이징이 파트너에게 과학 연구를 수행하도록 반복적으로 초대하고 우주인을 천궁 우주 정거장에 파견하는 임무에서 이를 알 수 있습니다.
푸옹 타오 (출처: SCMP)
유용한
감정
창의적인
고유한
격노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