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판티엣 시에서 판리꾸아-뚜이퐁까지 계획한 무이네 국립관광지구의 해안 지역에 위치하지는 않지만, 결정 제1772/QD-TTg(2018)에 따르면 개발 관점에서 " 빈투안 성, 남중부 해안 및 동남부 관광 지역의 관광지와 긴밀히 연계하여 무이네 국립관광지구를 개발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판티엣에서 바리아붕따우까지 빈투언성의 남부 해안 지역을 포함합니다. 이곳에서는 이 지역의 경제 및 국방 발전에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시 도로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특히 빈투언성-럼동성- 호치민시를 연결하는 관광 삼각지대에 위치해 있습니다.
자연과 고립
공감은 때때로 인간의 영혼이 삶의 소음과 분주함 속에 거의 가려져 있는 신비로운 것들, 경이로운 감정들을 쉽게 알아차리게 합니다. 광활한 바다와 하늘 속에서 잠시 머뭇거리며 다나이, 혼란, 땀딴, 도이즈엉, 깜빈 등 곳곳의 해변을 맨발로 천천히 걸으며 짭짤한 맛이 아직 남아 있는 부드러운 모래알을 음미할 때가 있습니다. 라기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인지하기 어렵지만, 특히 겨울철에는 움직임의 징후가 나타나 밀물과 썰물의 파도에 깜짝 놀라기도 합니다. 조금 떨어진 곳에서는 마치 백마 무리가 서로를 쫓아 해안으로 달려가는 갈기처럼 파도가 높이 치솟습니다.
우리 고향 바다를 이야기할 때, 외로운 모습을 간직한 혼바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저는 바쭈아응옥 섬이나 티엔야나 섬보다 혼바 섬이라는 지명을 더 선호합니다. 수백 년 동안 이 해안 지역 어부들의 삶의 굴곡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그 삶의 터전으로 변화해 왔기 때문입니다. 비록 이 이야기는 침향나무 조각의 형상을 통해 인간 생명을 낳는 땅을 창조하는 힘을 지닌 참족의 신 포양이나나가르의 전설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고대 베트남 어부들에게는 의식, 기도, 제물을 통해 베트남 모신을 숭배하는 열망의 정신을 지닌 땅의 어머니로 여겨졌습니다.
라기(La Gi) 시골에서 판티엣(Phan Thiet) 시로 이어지는 보행자 발자국이 있는 길이 기억납니다. 아마도 해안을 따라 동굴과 들판을 지나는 원시적인 간선도로였을 것입니다... 19세기 중반 응우옌 왕조 시대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 판티엣에서 투안리(Xom Tram), 투안찐(Tam Tan), 투안푸옥(Phuoc Loc), 투안푸옹(Phu Mi)까지 이어지는 역참들을 지나며, 비엔호아(Bien Hoa)의 투안비엔(Thuan Bien) 역(모쏘아이 - 바리아)은 해안 관할 도로의 종착지입니다. 빈투언(Binh Thuan)의 모든 역참은 역 이름 앞에 '투안(Thuan)'이라는 단어를 붙여 부드러움과 조화를 의미합니다. 점차적으로 어촌 마을, 독깐 어촌, 꽌퉁, 솜짬, 붕꼬께, 바우짬, 탄미, 꾸아깐, 동짱, 땀딴 지선, 탄롱 나룻배 등의 장소로 대체되었습니다. 아마도 당시 가장 문명화된 교통수단은 1888년 프랑스가 이 역들을 따라 남북을 연결하는 철로(정보)를 건설했을 때부터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빈투언성에서는 1894년이 되어서야 역과 연결되었습니다. 옛 땅에서도 옛 마을들은 길과 함께 변했습니다. 한때 여러 세대에 걸쳐 고난을 겪어온 길과 그 이름에서 비롯된 변화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마음은 왜 여전히 평화롭고 순수할까요?
길은 앞으로 나아가는 한 걸음이다
이제 도로는 정말 포장되어 넓고 넓습니다... 차에 앉아 낮잠을 자며 께가곶 모퉁이에서 불어오는 바람 소리를 들으며 마법 같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깨달았습니다. 오늘날 교통수단 덕분에 거리는 킬로미터가 아닌 시간, 시, 분으로만 계산됩니다. 서양적인 특징이 강한 빌라와 리조트들이 바다와 숲을 따라 자라고 있습니다. 파도에 밀려 해안으로 기울어진 듯한 바위들은 마치 딴따잉(Tan Thanh) 땅의 깜께손(Cam Ke Son) 전설처럼 신비로운 "붉은 흙" 모래 언덕 위에 야생마 무리가 우뚝 솟아 있는 모습을 연상시킵니다... 수백 년 전, 께가곶, 케까(Khe Ca) 일대는 바다 파도에 가까운 지형으로 가시덤불 숲과 바위 절벽, 기복이 심해 표범과 호랑이 같은 야생 동물만 서식하는 곳이었습니다. 20세기 마지막 10년이 되어서야 DT.712가 국도 1A(탄투안 교차로)에서 연장되었고, 이후 오늘날에는 DT.719와 DT.719B 구간이 투안꾸이-티엔탄까지 개통되었습니다.
라기/함탄에는 쯔엉띠엔(딴응이아) 교차로에서 1A 국도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있는데, 1927년 송판-딴린 역까지 이어지는 지선과 라기 해변까지 이어지는 지선으로 총 20km에 달하며, 사신도로라고 불립니다. 빈뚜이 성이 설립된 후(1956년) 2번 지방도로로 바뀌었고, 몇 년 후 30km 길이의 라기-쑤옌목 도로(23번 지방도로)가 개통되었습니다. 이 도로는 함탄, 라기, 딴린(빈투언), 람동을 거쳐 바리아에서 바오록 시 종착지까지 이어지는 55번 국도의 일부로, 총 길이는 217km입니다.
빈투안의 남쪽 관문은 풍부한 관광 잠재력을 지닌 곳으로, 지역 문화 정체성을 잘 보여줍니다. 빈투안의 남쪽 관문은 빈투안성 함탄현 푸옥탕사(Phuoc Thang commune)에 속하는 꾸미트엉(Cu Mi Thuong, 오늘날 포트리(Pho Tri), 떤탕(Tan Thang))과 연결되는 옛 마을 꾸미하(Cu Mi Ha)입니다. 1954년 이후 베트남 공화국 시대에 꾸미(Cu Mi, Ha) 마을은 푸옥뚜이 신성 쑤옌목현 빈투이사(Binh Chau commune)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러나 1975년 이전에는 온천을 둘러싼 1.2km2가 넘는 자연 보호림이 빈투이성에 속했습니다. 1928년 프랑스는 건강 회복, 특히 자연 경관에 특별한 가치가 있는 광천수를 발견했고, 살레 박사의 인도차이나 연구 프로젝트는 이 땅의 옛 이름인 "꾸미천(Cu Mi Stream)"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빈뚜이성의 지방사(베트남 공화국 - 1974)라는 책에는 지역 유물과 풍경에 대한 페이지가 있는데, 이 장소의 이름을 빈뚜이성의 함딴현, 히엡호아 마을의 "히엡호아 온천"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1995년, 정부는 빈투언성과 바리아붕따우성 두 성의 행정 경계를 마이타오산 정상에서 두두강을 따라 타랑천 서쪽 지류를 따라 흘러 동해로 흘러드는 꼬니강(현재 탕하이사, 추아강)을 기준으로 정했습니다. 따라서 수오이느억농 지역은 새로운 경계의 반대편, 바리아붕따우성 쑤옌목현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빈뚜이 지역 민담에 나오는 혼바(Hon Ba) 전설을 통해 전해지는 고대 관계는 꽤 유명합니다. 바(Ba)라는 인물은 여신 티엔이(Thien Y)의 화신으로, 엇갈린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바는 분노에 차 끓는 물이 담긴 냄비를 넘어뜨렸는데, 이는 수오이 느억 농(Suoi Nuoc Nong, 빈쩌우 분)과 남편 옹(Ong)의 흔적입니다. 옹은 뒤늦게 후회하며 옹산(Tanh Linh 분)의 높은 산으로 떠났습니다.
거리의 합창
1809년 프랑스는 꽝남성에서 카인호아, 빈투언성까지 이어지는 남부 식민지 도로 1호를 건설했고, 이후 국도 1A호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12학년 교과서(2009년)에 따르면 랑선에서 까마우(*)까지 이어지는 국도 1호로 통일되었습니다. quan bao/quan lo/cai quan/thien ly 등 여러 이름을 가진 해안가의 작은 도로들과 역참 체계는 이곳에서 과거로 돌아갔습니다. 산악 도로는 험준한 지형과 가파른 서적 거래로 인해 인구 밀집 지역을 통과하는 지역적인 도로로만 개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지역 도로망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1896년 프랑스가 빈투언에 식민지 도로 1호를 건설했을 때, 이 도로는 판티엣 남쪽 해안 도로, 즉 투안리 역(솜 트램)에서 투안비엔 역(비엔호아)까지 이어지는 구간을 따르지 않고, 판티엣에서 비엔호아까지 바로 이어지는 새로운 도로로 대체되었습니다. 약 200km에 달하는 1A 국도 덕분에 외딴 산악 지대가 모습을 드러내며, 세월이 흐르면서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했습니다.
남북 1번 국도는 지역과 지방 지선을 연결하는 합창단을 이루며, 옛 철도에서 평행하게 뻗어 있는 베트남 횡단 고속도로까지 이어집니다. 빈투언 해안 지역 남쪽에는 55번 국도가 있는데, 이 국도는 성(省)과 현(縣)을 잇는 "관광 루트"로, 유명 랜드마크와 아름다운 바다 풍경을 연결합니다. 아름답고 평화로운 해안 도로를 따라 시적이고 매력적인 공간을 느끼고 싶다면, 최근 몇 년 동안 새롭게 개통된 이 길을 추천합니다. 붕따우에서 롱하이를 지나 푸옥하이, 록안 하구로 향하면 수많은 배들이 정박해 있습니다. 호짬, 호꼭, 쑤오이느억농빈쩌우의 원시림 등 아름다운 하늘과 바다 풍경에 감탄하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빈투언 땅에 발을 디딘 후, 55번 국도를 타고 라기(La Gi) 마을로 바로 연결됩니다. 그 옆에는 약 10km에 달하는 쿠미 마을 해변이 있으며, 맹그로브 숲 사이로 많은 개울이 흐르고 있어 다양한 유형의 생태관광을 개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사람들은 교통이 땅의 생명선이라고 말하는데, 이는 틀린 말이 아닙니다. 길이 닿는 곳마다 마을과 주민들은 그에 따라 발전하고 점점 더 현대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응우옌 왕조 시대의 관도는 통신과 교통의 필요성에 따라 수많은 역과 관문을 설치하여 이주민들이 남방의 황량하고 영웅적인 땅을 탐험하고 정복할 수 있는 길을 열었습니다. 100여 년 전 작가 루쉰이 "사실 땅에는 길이 없다. 사람들은 끊임없이 걸어서 길을 만든다"라고 말했던 단순한 관점에조차 놀라지 않을 수 없습니다.
(*) 랑선에서 까마우까지 2,300km에 달하는 1A 국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1B, 1C 국도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러나 12학년 교과서(GDVN 출판사)와 2009년 베트남 지리 지도, 그리고 2015년 12월 1일자 3937/QD-TCĐVN 결정에 따르면 1A 국도는 없고 1번 국도만 있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