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투자청에 따르면, 2024년 1월에 190개의 신규 프로젝트에 투자등록증이 발급되어 24.2% 증가했습니다. 총 등록자본은 20억 달러를 넘어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66.9% 증가했습니다.
기획투자부 외국인투자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1월 20일 기준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하고 자본금을 출자하기 위해 신규 등록, 조정 및 출자한 외국인 투자 자본의 총액은 23억 6천만 달러를 넘어섰으며, 이는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40.2%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조정 투자자본과 주식매수를 위한 자본금 출자액이 감소한 데 반해, 신규 등록 투자자본은 여전히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이달 들어 190건의 신규 투자등록증이 발급되어 같은 기간 대비 24.2% 증가했습니다. 총 등록자본금은 20억 달러를 돌파하여 같은 기간 대비 66.9% 증가했습니다. 프로젝트 수의 급격한 증가와 6억 달러 이상의 대규모 프로젝트 등장은 외국인 투자 자본의 급격한 증가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또한 2024년 1월 투자자본 조정을 위해 등록한 프로젝트는 75개로, 같은 기간 대비 15.7% 감소했으며, 등록자본 총액은 2억 3,540만 달러 이상으로 증가하여 같은 기간 대비 23.1% 감소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자본금을 출자한 사례는 174건으로, 같은 기간 대비 14.7% 감소했으며, 출자자본 총액은 1억 1,650만 달러 이상으로, 같은 기간 대비 33.1% 감소했습니다.
등록자본의 긍정적인 추세와 함께 지출자본도 매우 긍정적이었으며, 외국인 투자자가 2023년 1월에 14억 8천만 달러를 지출했을 때와 비교해 9.6% 증가했습니다.
투자 부문별로 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민 경제 의 21개 부문 중 15개 부문에 투자했으며, 그 중 부동산업 부문이 총 투자 자본이 12억 7천만 달러 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전체 등록 투자 자본의 53.9%를 차지하며 같은 기간보다 2배 높았습니다. 가공제조업 부문이 총 투자 자본이 약 9억 2천 6백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등록 투자 자본의 39.2%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전문 활동, 과학 및 기술, 도매 및 소매업 부문이 총 등록 자본이 각각 6,520만 달러와 약 5,450만 달러로 뒤따랐습니다.
프로젝트 수 기준으로는 도소매업이 신규 프로젝트 수(38.9%)와 지분 인수 자본 출자(49.4%) 측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가공 및 제조업은 자본 조정(73.3%)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투자 파트너 측면에서 볼 때, 2024년 1월 현재 베트남에 투자하는 국가 및 지역은 39개였습니다. 그 중 싱가포르는 총 투자 자본이 14억 달러를 넘어 1위를 차지했으며, 총 투자 자본의 59.5%를 차지했고, 2023년 같은 기간 대비 72.8% 증가했습니다. 일본은 약 2억 9,7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으며, 총 투자 자본의 12.6%를 차지했고, 같은 기간 대비 7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사모아, 중국, 홍콩(중국) 등이 뒤따랐습니다.
프로젝트 수 측면에서 중국은 신규 투자 프로젝트 수(약 19% 차지)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한국은 자본 조정(26.7% 차지)과 주식 매수를 위한 자본 출자(25.3% 차지)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외국인 투자자들은 전국 35개 성과 도시에 투자했습니다. 하노이는 총 등록 투자자본이 8억 6,700만 달러를 넘어 1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총 등록 투자자본의 36.7%를 차지하고 2023년 같은 기간보다 39.7배 더 높습니다.
바리아붕따우는 총 등록 투자자본이 약 2억 8,2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으며, 이는 베트남 전체 투자자본의 11.9%를 차지합니다. 그 뒤를 이어 박장성, 박닌성, 동나이성이 뒤따릅니다.
외국인투자청에 따르면, 하노이의 투자 자본은 총 투자 자본이 6억 6,200만 달러가 넘는 대규모 신규 투자 프로젝트로 인해 급격히 증가했으며, 하노이의 새로운 도시 지역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프로젝트 수 측면에서 호치민시는 신규 프로젝트 수(42.1%)와 지분 인수를 위한 자본 출자(78.2%) 모두에서 전국 1위를 차지했습니다. 박닌성은 자본 조정 프로젝트 수(16%)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기획투자부는 글로벌 투자 동향에 맞춰 외국인 투자 정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조정할 것입니다. 특히, 재생 에너지, 폐기물 처리, 녹색 도시 개발, 청정 농업, 연구 개발(R&D), 정보 기술, 혁신 등 경제의 녹색화, 에너지 전환, 녹색 성장, 디지털 전환에 기여할 수 있는 산업과 분야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입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는 토지, 건설, 소방, 환경, 관세 등 투자등록증 발급 이후 절차 이행을 중심으로 행정절차를 지속적으로 개혁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의 요구에 따라 인적자원 교육 연계를 촉진하고, 향후 첨단기술 분야 투자 유치 수요에 부응하는 인적자원 교육 추세를 예측합니다. 동시에, 글로벌 최저세의 영향에 효과적이고 유연하게 적응하고 투자자의 신뢰를 확보하며 투자 환경의 매력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을 적시에 발표합니다.
(베트남+)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