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 사진. (출처: Westermeier Martin Dental Care) |
이 연구가 성공한다면, 이 약은 2030년경에 시장에 출시될 수 있으며, 세계 최초의 신약이 될 것입니다.
교토 대학이 설립한 스타트업인 토레젬 바이오파마(Toregem Biopharma Co.)의 과학자 팀에 따르면,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2024년 7월경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구팀은 2018년에 생쥐와 흰족제비를 대상으로 한 시험 단계에서 성공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 이 약물이 위에서 언급한 두 설치류의 새로운 치아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흰족제비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유치와 영구치를 모두 가진 동물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치와 영구치 외에도 새로운 치아로 자랄 수 있는 "치아 싹"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치아 싹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사라지곤 합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치아 성장을 방해하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항체 약물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이 약물은 치아 싹의 성장을 촉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또한, 연구팀은 2025년부터 유전적 요인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선천성 무치악증을 가진 2~6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이 약물의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선천성 무치악증을 가진 어린이는 자연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없이 성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어린이들에게는 앞서 언급한 임상시험 단계에서 이 약물을 주사하여 치아 성장을 촉진할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이 약을 충치로 인해 이를 잃은 성인에게도 사용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토레젬 바이오파마의 공동 설립자인 카츠 타카하시 박사는 어린이의 치아 상실이 턱뼈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카츠 박사는 이 약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다카하시 씨는 또한 이 제품이 앞으로 틀니와 임플란트 외에도 내과 및 치과 검사 및 치료에 있어서 제3의 치료법으로 사용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신약은 내년 7월에 임상 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며, 2030년 이전에 시장에 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