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CR)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 전체의 휴대폰 판매량은 2022년 1분기에 비해 13% 감소했으며, 특히 베트남은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조사 대상 국가 중 30% 이상 감소폭이 가장 컸습니다.
베트남에 이어 말레이시아 시장은 29% 감소했고, 필리핀은 10%, 인도네시아는 7%, 태국은 1% 감소했습니다.
CR이 기록하는 데이터는 공장 판매량(공장 창고에서 유통 시스템까지의 판매량)이며,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된 수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CR 분석가 글렌 카르도자는 "베트남의 소비 심리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애플은 시장점유율이 7%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매출이 증가하는 유일한 회사다.
동남아시아에서는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이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쳐 신규 휴대폰 수요를 직접적으로 감소시켰습니다. 또 다른 요인은 1분기가 보통 매우 우울하다는 점입니다. 기기를 교체하기로 결정한 사람들이 대부분 전년도 말에 구매를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연말은 다양한 인센티브 프로그램과 할인으로 수요를 촉진하는 시기입니다.
시장조사기관 GfK의 또 다른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의 휴대전화 판매량은 2023년 첫 2개월 동안 250만 대에 미치지 못했으며, 2022년 같은 기간(350만 대)에 비해 30% 감소했습니다.
이전에 한 소매 시스템 담당자는 베트남 휴대폰 시장 전반, 특히 스마트폰 시장이 뗏 이전부터 비정상적으로 우울한 경기 기간을 겪었으며, 보통은 1분기 말에야 침체기를 겪고 2분기까지 지속되었다고 확인했습니다.
고가폰 부문은 가장 큰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중저가폰 부문은 경제 상황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이 부문 고객들은 지출을 줄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삼성은 여전히 21%의 시장 점유율로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오포(20%), 비보(14%), 샤오미(14%), 리얼미(12%), 애플(7%)이 그 뒤를 따릅니다.
전반적으로 침체된 시장 속에서 애플은 동남아시아와 베트남에서 유일하게 매출 성장(18%)을 기록하며 "희망의 땅"으로 떠올랐습니다. 나머지 브랜드들은 5%에서 26%까지 감소했습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