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생산성과 경제적 효율성이 낮아 베어버렸던 다크락과 다크농 지역 의 코코아 나무는 농부들의 노력과 유럽연합(EU)의 지원 덕분에 점차 '살아나고' 있습니다.
Julien Guerrier EU 대사가 Dak Lak 의 코코아 농장을 방문했습니다. - 사진: THANH HIEN
지난주 중부 고원지대 두 지방의 농장과 협동조합을 방문하는 동안 베트남 주재 EU 대사인 줄리앙 게리에(Julien Guerrier)는 카카오를 심고 수확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고, 정원에서 신선한 카카오 열매를 맛보고, 지역 농부들의 카카오 재배 방법의 변화에 대해 들어볼 기회를 가졌습니다.
코코아의 모습을 바꾸다
현재 기후 변화로 인한 공급 감소로 코코아 가격이 급등하여 코코아의 경제적 매력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순환 경제 모델 도입 덕분에 닥락성과 닥농성의 코코아 생산성과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농부 응우옌 득 탄(Nguyen Duc Thanh)은 닥락성 에아카르구 에아다르 마을의 나트땀 협동조합에서 신선한 코코아콩을 판매한 후, 지난 몇 년 동안 판매 가격이 습식 콩 1kg당 20,000~30,000동에서 80,000동으로 약 4배나 오른 것에 대해 기쁨을 표했다.
낫땀 협동조합은 현재 지역 농부들로부터 신선한 카카오 콩을 최저 가격으로 구매하여 농부들이 재배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협동조합 이사인 응우옌 홍 투옹 씨는 이 지역의 카카오 재배 면적이 750헥타르이지만 2030년까지 11,000헥타르로 늘리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다크농에서 티엔록팟 협동조합(다크윌사, 꾸쥐트구)의 황반푹 씨는 기술 지원 덕분에 이 지역의 코코아 생산량이 이전에 헥타르당 1톤에서 헥타르당 2~3톤으로 늘어났고, 품질도 더 좋아져 사람들의 소득과 생활이 향상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응우옌 낌 딘(Nguyen Kim Dinh) 농부처럼 오랫동안 닥농(Dak Nong) 지역의 코코아 재배에 참여해 온 사람들에게는 이는 환영할 만한 변화입니다. 72세의 이 농부는 작년에 코코아 재배로 헥타르당 2억 동(VND)의 수익을 올렸으며, 현재는 태양광 관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합리적인 가격에 안정적으로 코코아를 공급받아 품질이 안정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부분적으로 유럽 연합(EU)이 "코코아 생산의 순환 경제: 코코아 콩에서 초콜릿 바까지" 프로젝트를 통해 지원한 덕분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약 190만 유로의 예산으로, EU가 SWITCH-Asia 프로그램에 따라 지원하며 아시아 지역의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소비 모델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헬베타스 개발 기구(스위스)와 지역사회 개발 센터(CDC)를 통해 이 프로젝트는 Dak Lak과 Dak Nong에서 순환 코코아에 대한 훈련과 교육을 제공하고, 코코아 부산물을 바이오차, 비료, 동물 사료로 가공하는 방법과 고품질 코코아 콩을 가공하고 발효하는 모델을 제공했습니다.
기업의 지원 또한 지속 가능한 코코아 개발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벨기에 푸라토스 그룹 계열사인 푸라토스 그랑플라스는 최저가 구매를 약속할 뿐만 아니라 농가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베트남의 코코아 생산량은 연간 3,000톤에 불과한 반면, 푸라토스는 1만 톤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는 코코아 재배 면적 확대의 잠재력이 여전히 매우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초콜릿 제조업체인 마루는 EU가 농업 기술을 지원하고, 종묘장을 설립하고, 순환 농업 모델을 구축하여 국제 기준을 충족하는 유기농 제품을 생산하는 낫통 농장(닥락)의 유기농 코코아에도 관심이 있습니다.
베트남은 순환경제의 모델이다.
방문 후 기자들에게 베트남 주재 EU 대사인 줄리앙 게리에(Julien Guerrier)는 EU의 지원 덕분에 현지 농부들이 고품질, 지속 가능하고 순환형 코코아 생산 체인을 개발할 수 있었다는 사실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게리에 씨는 투오이 트레와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이 순환 경제 모델에 따라 생산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농장에서 농부들은 코코아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작물도 재배합니다. 또한 콩부터 껍질, 그리고 기타 부산물까지 코코아 열매 전체를 활용하고, 식물에 천연 비료를 사용합니다. 베트남은 이러한 순환 경제의 선두에 있으며, 이 지역과 세계의 모범이 될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단언했습니다.
그는 또한 EU의 산림 벌채 방지 규정(EUDR)의 긍정적 영향을 강조했습니다. 이 규정은 코코아, 커피, 콩, 팜유, 목재, 소고기, 고무, 종이와 같은 제품이 산림 벌채 또는 황폐화된 토지에서 생산된 경우 유럽으로의 수입을 금지합니다.
"EUDR은 지역 생산자들이 삼림 벌채가 발생하지 않도록 코코아의 원산지를 추적하도록 장려했습니다. 이를 통해 농가의 가격도 상승했고, EU뿐만 아니라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도 지속가능성 인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농가들은 상위권 시장에 프리미엄 가격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대사는 EUDR 준비 과정에서 베트남의 주도성과 리더십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일부 국가의 준비 부족으로 이 규정이 1년 연기되었지만, 게리에 대사는 베트남이 실제로 2025년 12월 31일까지 요건을 완벽하게 충족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 시간을 활용하여 마지막 단계를 완료하고 적시에 준비를 완료하십시오. 그러면 베트남 제조업체들은 유럽으로 수출할 수 있을 것이고, 다른 시장의 경쟁사들은 준비할 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제안했습니다.
베트남 코코아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코코아 생산량은 430만 톤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그중 70% 이상을 아프리카에서 공급하는데, 주로 포라스테로 품종이 그 뒤를 따릅니다. 베트남에서 재배되는 코코아 품종은 트리니타리오 교배종입니다.
베트남 코코아콩은 전 세계 코코아 생산량의 0.1%에 불과하지만, ICCO는 베트남 코코아콩을 맛있는 코코아를 생산하는 세계 최고의 생산국 중 하나로 선정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tuoitre.vn/ca-cao-viet-nam-hoi-sinh-nho-kinh-te-tuan-hoan-20250320234845253.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