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번의 맞대결에서 우즈베키스탄은 8승을 거두며 카타르의 숙적이었습니다. 스레코 카타네츠 감독이 이끄는 우즈베키스탄 선수들은 아름다운 공격 축구를 선보이며 2023 아시안컵에서 가장 강력한 공격력을 가진 팀 중 하나입니다. 반면, 카타르는 16강전에서 팔레스타인과 아슬아슬한 접전을 펼쳤습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카타르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카타르 대표팀의 승리에 대한 자신감은 약 6만 9천 명의 관중이 모인 알 베이트 스타디움에서 경기를 계속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게다가 틴틴 마르케스 감독은 팀에서 가장 강력한 선수단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편, 우즈베키스탄 대표팀은 주전 센터백 압두코디르 쿠사노프가 출장 정지 징계로 결장합니다.

개최국 카타르는 2023년 아시안컵에서 설득력 있는 성적을 보여주지 못했다.

우즈베키스탄 팀은 카타르 팀의 숙적이다.
8강전의 중요성에 힘입어 우즈베키스탄과 카타르는 모두 치열한 접전을 펼쳤습니다. 경기 초반 20분 동안은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습니다. 아크람 아피프와 알모에즈 알리는 넓은 공간과 빠른 플레이로 카타르 공격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21분, 두 선수는 왼쪽 윙에서 아름다운 콤비네이션을 선보이며 거의 득점에 성공했습니다.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카타르 팀은 예상치 못하게 우즈베키스탄 골키퍼로부터 "선물"을 받았습니다. 26분, 오른쪽 윙에서 스로인을 받은 알모에즈 알리가 하산 알 하이도스에게 섬세한 백힐 패스를 연결했습니다. 등번호 10번을 달고 있던 카타르 선수는 터치라인을 따라 드리블을 한 후 크로스를 올렸습니다.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보였지만, 골키퍼 우트키르 유수포프가 공을 골문 안으로 밀어 넣었습니다.

카타르 팀이 상대 골키퍼의 실수로 선제골을 넣었다.
이전 경기들에 비해 우즈베키스탄은 단결력이 다소 떨어지는 경기를 펼쳤습니다. 스레츠코 카타네츠 감독이 이끄는 선수들은 중앙에서 호흡을 맞추지 못하고 왼쪽 윙으로 공을 몰고 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가장 기대되는 스타였던 아보스벡 파이줄라예프 역시 전반전에 완전히 결장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은 36분이 되어서야 첫 번째 기회를 잡았지만, 오스톤 우루노프의 슛은 골대 앞에 있는 카타르 수비수에게 맞고 말았습니다.
전반전이 끝나고, 골키퍼 우트키르 유수포프의 뛰어난 활약이 없었다면, 중앙 수비수 알마흐디 알리 묵타르의 근거리 헤딩슛으로 우즈베키스탄의 골문은 두 번째로 흔들렸을 것입니다.

아보스베크 파이줄라예프(흰색 셔츠)가 마크를 받았고 우즈베키스탄 팀은 전반전에 교착 상태에 빠졌습니다.
후반전 들어 우즈베키스탄은 전술을 완전히 바꿔 완전히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흰 유니폼을 입은 선수들은 적극적으로 경기에 나섰고, 끊임없이 기회를 만들어냈습니다. 51분, 잘롤리딘 마샤리포프가 30미터가 넘는 거리에서 절묘한 슛을 날려 카타르 골문에 경고를 안겼습니다. 골키퍼 메샬 바르샴은 속수무책으로 헤딩했지만, 공은 아깝게 골대를 벗어났습니다.
59분, 오딜존 함로베코프가 중앙에서 공을 받아 세련된 프레스를 선보이고 왼발로 정확한 슛을 성공시켜 1-1 동점을 만들었다.

오딜존 함로베코프가 아름다운 왼발 슛으로 우즈베키스탄의 동점골을 넣었습니다.
우즈베키스탄의 동점골 이후, 경기는 치열한 접전으로 이어졌습니다. 양 팀은 많은 기회를 얻지 못한 채, 중원에서 끊임없이 충돌했습니다. 결국 이 경기는 12분의 추가 시간이 주어졌는데, 이는 2023 아시안컵 개막 이후 가장 긴 추가 시간이었습니다. 추가 시간 10분, 아크람 아피프의 절묘한 감아차기 슛이 빗나가지 않았다면 경기가 끝날 뻔했습니다.
연장전에는 많은 선수 교체가 없었습니다. 결국 경기는 승부차기로 이어졌습니다. 팽팽한 승부차기에서 골키퍼 메샬 바르샴의 뛰어난 선방으로 카타르는 3-2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 진출권을 확보했습니다. 그는 믿을 수 없는 선방을 보여주었고, 상대의 마지막 킥도 운 좋게 성공시켰습니다. 상대 선수는 과도한 압박에 시달리며 바샴의 위치에서 페널티킥을 차 넣었고, 바샴은 공을 밀어내려는 수고를 덜었습니다.

아크람 아피프가 감동적으로 축하합니다
카타르의 준결승 상대는 이전 8강전에서 일본을 2-1로 꺾은 이란입니다. 준결승은 2월 7일 오후 10시 알 투마마 스타디움에서 열립니다.
또 다른 준결승전은 요르단과 한국 간의 경기입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