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불룩 마을 외곽의 이재민 캠프에 있는 2만 8천 명과 마찬가지로, 슈나는 가축들이 물과 식량 부족으로 죽어 1년 전 이 캠프로 이주한 목동입니다. 슈나의 딸 로코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어머니는 강하고 활기찬 분이셨어요. 어디든 가셔서 원할 때마다 우유를 드셨죠."라고 말했습니다.

이제 그녀는 배고픔으로 너무 약해져서 앉거나 말할 수도 없습니다. 매달 NGO 에서 옥수수 가루 몇 킬로그램을 지원받지만, 소화하기 너무 힘듭니다. 로코는 어머니가 먹을 수 있는 게 우유뿐이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우유를 살 돈이 없습니다. "무력감이 느껴져요." 그녀는 슬프게 말했습니다. "어머니가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있어요."

사쿠 슈나는 비좁은 텐트 안에서 딸에게 지친 듯 기대어 있다. 사진: 가디언

아프리카의 뿔(Horn of Africa) 지역은 기후 변화로 인해 40년 만에 최악의 가뭄을 맞았습니다. 캠프 내 텐트 밖에 앉아 있던 90대 키로 고다나(Kiro Godana) 씨는 여러 가뭄을 봤지만 이번이 최악이라고 말했습니다. "예전에는 한 계절 동안 비가 오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소 한두 마리를 잃고 나머지는 살아남았죠. 하지만 이번 가뭄은 훨씬 더 길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소들이 살아남지 못한 겁니다."라고 고다나 씨는 말했습니다. 한편, 85세의 보루 디도(Boru Dido) 씨는 가뭄으로 가족에게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비가 좀 내렸지만, 소들이 죽고, 농작물이 시들고, 건강이 망가지고, 아무것도 남지 않았습니다."라고 디도는 한탄했습니다.

기록적인 최저 강우량으로 케냐, 에티오피아, 소말리아에서 약 2,200만 명이 기아 위기에 처했습니다. 노인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보레나에서는 60세 이상 노인의 절반이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는 이 지역 노인 인구 사상 최고치입니다. NGO 헬프에이지 인터내셔널(HelpAge International)의 샘슨 이게주(Samson Yigezu)는 구호 단체들이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지원이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 아이들과 어머니들이 최우선입니다. 이게주는 배고픈 노인들에게는 영양가 있고 삼키기 쉬운 음식과 같은 특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식량은 슈나가 살고 있는 캠프에서 가끔씩 배급되지만, 어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만 제공됩니다.

투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