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자니아 꿀오소리는 인간보다 먼저 야생 꿀과 밀랍을 채취하기 위해 꿀안내핀치와 교배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꿀오소리가 나무에서 꿀을 먹는 모습. 영상 : IFL Science
6월 29일 동물학 (Zoology)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꿀핀치와 꿀오소리가 꿀을 훔치기 위해 협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탄자니아의 하자베 꿀 사냥꾼의 61%가 꿀안내핀치와 꿀오소리가 이런 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꿀나비조류는 밀랍을 좋아하지만, 벌집을 깨서 밀랍을 따낼 만큼 강하지는 않습니다. 오랫동안 이 핀치들은 꿀 사냥꾼들을 야생 벌집으로 안내해 주었습니다. 사람들이 꿀을 모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남은 밀랍을 먹어 치웠습니다. 그러다 꿀나비조류는 같은 방법을 다른 종인 꿀오소리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UCLA) 과학자 들이 진행한 새로운 연구는 꿀안내핀치( 인디케이터 )와 꿀오소리( 멜리보라 카펜시스 )가 벌집을 채취하기 위해 협력했다는 대규모 증거를 최초로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전역의 벌꿀 채취업자 400여 명과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그중 일부는 꿀을 얻기 위해 꿀안내핀치와 협력해 왔습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집단의 80%는 두 종이 서로 교감하는 모습을 본 적이 없었고 이 이야기의 진실성에 회의적이었지만, 연구진은 몇 가지 예외를 발견했습니다. 탄자니아에서는 세 개의 서로 다른 공동체 사람들이 꿀나방과 꿀오소리가 힘을 합쳐 둥지를 습격하여 꿀과 밀랍을 훔치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하자베족 꿀 사냥꾼들이 그곳에서 활동하며, 그중 61%가 이러한 행동을 목격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의 브라이언 우드 박사에 따르면, 하자베족은 활과 화살로 동물을 사냥하면서 조용히 이동하기 때문에 꿀나방과 꿀오소리가 교감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꿀오소리는 청력과 시력이 좋지 않아 참새와 예상치 못한 파트너가 됩니다. 이것이 꿀안내새가 기회가 주어지면 인간과 협력하는 쪽으로 전환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물학과의 클레어 스포티스우드 박사는 "꿀나비지빠귀의 귀소 행동이 꿀오소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인간이 꿀벌을 다루고 벌집에 접근하는 데 더 능숙했기 때문에 인간이 도착하면서 지빠귀지빠귀가 인간으로 바뀌었을 것이라고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안 캉 ( IFL Science 에 따르면)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