뗏(Tet) 기간 동안 미국 워싱턴주에 사는 킴 히우(Kim Hieu) 씨 가족 의 집은 향 냄새로 가득합니다. TV에서 흘러나오는 활기찬 봄 음악은 집에 들어서는 모든 사람을 마치 베트남에 있는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합니다.
로스 머레이 씨, 즉 킴 히에우 씨의 남편과 아들 티미가 살구꽃 화분을 고치는 동안, 바리아붕따우 출신의 여인은 제단에 바칠 돼지고기 조림과 계란, 쓴맛이 나는 오이 수프를 요리하느라 바빴습니다.
"지금까지 10년 동안 미국에서 설날을 보냈지만, 아직도 베트남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어요. 매년 온 가족이 정성껏 장식해서 향수병을 달래고 아들이 설날 풍습을 이해하도록 돕고 있어요."라고 김희우 씨는 말했습니다.
설날에 걸려있는 화려한 장식과 서예
김희우 씨의 집은 2층 건물로 미국 건축 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요즘 집 안은 빨간색과 노란색 꽃, 그리고 장식품들로 가득합니다.
12월 20일부터 베트남 여성은 집을 꾸미기로 했습니다. 제단 주변과 벽난로 위, 가장 아름다운 두 공간을 골라 설날에 흔히 볼 수 있는 물건들을 배치했습니다.
"제단, 살구꽃 화분, 등불은 온라인으로 주문해서 베트남에서 배송받았어요. 미국산 살구꽃 화병과 붉은 장식은 집에서 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아시안 마켓에서 샀어요. 2주 후에 깨끗이 씻어서 내년에 다시 쓸 수 있도록 잘 보관할 거예요." 김희우 씨가 말했다.
설날 며칠 전, 부부는 활짝 핀 미국 살구꽃이 담긴 꽃병 두 개로 제단을 장식했습니다. 김희우는 집 구석에 살구꽃 화분과 새해의 번영을 기원하는 플라스틱 과일 바구니를 놓았습니다.
"푸른 행운, 노란 살구꽃, 봄의 행복 - 행복한 삶 , 건강,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붉은색 병렬 문장과 창가에 걸려 있는 폭죽은 가족이 베트남에서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설날에 대한 설렘 가득한 분위기를 조성합니다.
김희우의 거실 벽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곡선미가 돋보이는 서예 글씨입니다. 이 모든 글씨는 베트남 며느리가 선생님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후 직접 쓴 것입니다.
온 가족이 제단을 집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여기기 때문에 매우 정성껏 정돈합니다. 몇 년 전, 한 여성은 부모님의 초상화를 미국으로 가져와 제사를 지냈습니다. 춘절뿐 아니라 일 년 내내 부부와 아들은 여전히 향을 피우는 습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집에 제단이 있으면 따뜻한 분위기가 느껴져요. 제단은 가족들이 고인을 기리고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공간이거든요."라고 김희우는 말했다.
이 제단은 베트남 출신의 김희우 여사가 주문한 것입니다.(사진: 등장인물 제공)
모든 것을 끝내고 앉아서 설날의 향기가 가득한 공간을 감상하던 바리아붕따우 출신의 한 여인은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의 재회 순간, 아이들이 새 천 냄새가 나는 옷을 입던 순간을 갑자기 떠올렸다.
그녀가 어렸을 때 부엌신의 날을 지낸 후, 그녀의 가족은 종종 향로를 바꾸고, 청소하고, 반텟을 포장하고, 과일 접시를 정리하고, 조상 제단을 세우는 등의 일을 공유했습니다... 그 분주한 분위기는 이제 집을 떠나 있는 며느리의 마음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추억이 되었습니다.
올해 미국에서는 설날이 평일에 겹치고, 아들은 아직 학교에 다니고 있어서 김희우 씨 가족은 저녁 식사 후 모였습니다. 설날 마지막 날, 세 사람은 아오자이를 입고 기념으로 사진을 찍었습니다.
"매년 설 연휴 때마다 아들이 한 살씩 더 자라요. 티미가 고등학교에 가면 부모님과 사진 찍는 걸 부끄러워할까 봐 걱정이에요. 남편과 저는 아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도록 아오자이 입은 사진을 최대한 많이 찍어주려고 노력해요." 김희우 씨가 털어놓았다.
반텟을 싸서 가스레인지에 넣고 끓이는 모습
장식이 완성되면 베트남 여성은 아시아 시장에 가서 바나나 잎, 찹쌀, 녹두, 고기, 반텟을 싸는 끈 등을 구입합니다.
김희우 씨는 우리 가족이 반 뗏을 많이 먹지는 않지만 매년 만든다고 말했습니다. 부부는 아이들이 뗏이 오면 베트남 문화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를 바랍니다.
김희우 씨와 아기 티미가 미국에서 반텟을 싸고 있다(사진: 제공 캐릭터).
케이크를 포장하기 전, 어머니와 딸은 베트남 남부 전통 의상을 입었습니다. 히에우 씨는 딸에게 나뭇잎을 배열하는 방법, 각 재료를 넣는 방법, 그리고 케이크를 포장하는 방법을 세심하게 가르쳐 아름다운 케이크를 완성했습니다.
"이웃에게 폐가 될까 봐 정원에 나무 난로를 설치하지 않았어요. 남편과 저는 케이크를 냄비에 넣고 가스레인지에서 끓였어요. 12시간 후, 온 가족이 따끈따끈한 케이크를 손꼽아 기다렸죠."라고 베트남 신부는 밝혔습니다.
워싱턴 주 - 김희우의 가족이 살고 있는 주는 미국 북서쪽, 캐나다 국경에 가깝고 베트남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입니다.
매일 각자의 삶으로 바쁘게 지내다 보니 서로 만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뗏(Tet)은 베트남 신부들이 한 해 동안의 성과를 공유하고 다시 만날 수 있는 절기입니다.
가스레인지로 끓여 완성된 반텟(사진: 캐릭터 제공)
음력설이 끝나면 김희우 씨의 집은 동포들이 모여 베트남 음식을 즐기고 사진을 찍고 아이들에게 행운의 돈을 주는 친숙한 장소가 되는 것이 전통이 되었습니다.
왁자지껄한 대화와 웃음소리 속에서, 미국에서 자란 2, 3세대가 베트남 전통 아오자이를 입고 베트남 문화가 가득한 공간에서 뛰어노는 모습을 보며 김희우 씨를 비롯한 부모님들은 행복을 느꼈습니다. 그 소중한 순간이 그들의 향수병을 달래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남편과 아이들이 함께 베트남 문화를 보존합니다
로스 씨(김희우 씨의 남편)는 아내의 고향인 베트남의 문화와 나라에 대한 애정이 남다릅니다. 10년 전만 해도 이 분은 종종 베트남으로 일하러 가곤 했습니다. 그는 이곳의 자연경관, 친절한 사람들, 그리고 다채로운 음식을 즐깁니다.
두 사람은 2008년 호찌민시의 한 라이브 음악 카페에서 우연히 만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로스 씨는 미국 수출을 전문으로 하는 제조 시설을 운영했고, 그녀는 베트남에 있는 외국 기업의 대표 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그날, 붐비는 커피숍에서 두 사람은 우연히 서로를 마주쳤습니다. 김희우 씨는 미국인 남자의 친절한 미소와 흰머리에 "매료"되었습니다.
"그가 저를 보더니 다가와서 친해지자고 했어요. 흥미로운 대화를 나눈 후, 전화번호를 교환하고 연락을 이어갔죠. 그는 성숙해 보였고 베트남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서 정말 만족스러웠어요. 그가 출근할 때마다 외식 계획을 세우고 서로 호감을 느꼈죠."라고 김희우는 말했다.
김희우와 그녀의 남편, 아들이 설날을 기념하기 위해 아오자이를 입는다(사진: 캐릭터 제공).
2014년, 두 사람은 결혼했습니다. 1년 후, 김희우는 아들 티미를 낳았습니다. 아기는 태어난 지 한 달이 되었는데, 마침 설날이었습니다. 아기가 잠든 짧은 시간을 틈타 베트남 신부는 간단한 식사를 준비하여 제단에 바쳤습니다.
"그해 설날, 남편이 출장을 가면서 집에는 우리 둘만 남았어요. 가족과 떨어져서 새해를 맞이하는 건 처음이라 고향이 너무 그리웠어요. 제단에 향을 피우고 나서는 갑자기 눈물이 터져 나왔죠. 2016년 설날, 티미가 한 살이었을 때 온 가족이 미국 신년 시장에 가서 매년 새해마다 집을 장식하는 습관을 들였어요." 김희우는 당시를 회상했습니다.
10년간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한 국기의 땅에 사는 신부는 가족에게 헌신할 뿐만 아니라 아내의 전통 문화 보존을 지원하는 남편을 만나 행운을 느낀다.
매년 설 명절이면 킴 히에우 씨가 조상들에게 제물을 차리는 동안, 로스 씨는 아내를 도와 재료 손질과 설거지를 하느라 분주합니다. 이 남자는 아오자이를 입고 아내와 아이들과 함께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활기찬 분위기를 즐기는 것을 좋아합니다.
김희우 씨가 설날에 자식을 위해 쓴 서예(사진: 해당 인물 제공)
아들이 어머니의 고향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그녀는 매주 일요일 티미를 집 근처 학교의 베트남어 수업에 보냈습니다. 이 학교에는 6세에서 13세 사이의 학생 약 300명이 다니고 있습니다. 부부는 아들이 베트남어를 이해하고 고향에 도착했을 때 쉽게 적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1살 소년 티미는 한동안 공부한 후, 자신 있게 노래를 부르고 베트남어도 조금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들이 집에 돌아오면 티미의 어머니는 종종 간단한 단어들을 자세히 설명해 주려고 노력합니다. "천천히, 꾸준히 하면 이긴다"라는 모토처럼, 앞으로 아들이 베트남어에 능통해지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주말에는 남편과 함께 티미를 학교에 데려갑니다. 일이 없을 때는 다른 학부모들과 함께 교실을 정리하고, 여러 활동에 참여하고, 쉬는 시간에는 학생들과 놀아줍니다."라고 바리어붕따우 출신의 한 여성이 말했습니다.
지리적으로 베트남과 아주 멀리 떨어진 나라에 살고 있는 김희우 씨의 가족도 고향에 있는 형제와 친척들처럼 뱀의 해인 새해를 맞이하게 되어 매우 기뻐하고 있습니다.
설날 30일 밤, 세 식구는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자정까지 깨어 있지 않고 제단에 엄숙하게 바칠 음식을 쟁반에 담아 준비했습니다. 첫날 아침, 온 가족이 일어나 아오자이를 입고 서로 축하 인사를 나눴습니다. 어린 티미는 부모님으로부터 건강하고 평화로운 새해를 기원하는 빨간 봉투를 받았습니다.
단트리닷컴(Dantri.com.vn)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