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우전대학(China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의 통신 엔지니어들이 기존 4G 인프라에서 6G 전송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현장 테스트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연구팀은 7월 10일 베이징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테스트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초기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5m3h2p67.png
지난 6월 상하이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한 방문객이 최신 5G 및 6G 기술 전시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 차이나 데일리

네트워크는 "의미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용량, 범위, 효율성을 포함한 주요 커뮤니케이션 지표를 10배 향상시킵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 네트워크는 연구소들이 6G 핵심 기술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초기 검증을 수행하는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연구팀은 "세계 최초" 6G 현장 시험망으로서 6G 연구의 진입 장벽을 낮춰 접근성을 높이고 혁신을 촉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네트워크는 통신과 AI를 심층적으로 통합하고 있으며, 이는 통신 기술 발전의 "핵심 방향"입니다.

연구팀을 이끈 장핑 교수는 두 기술의 통합이 디지털 경제 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형태의 형성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장핑 교수에 따르면, AI는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과 의미적 이해를 향상시키고, 6G는 AI의 적용 범위를 모든 분야의 구석구석으로 확장할 것입니다.

중국 6G 추진팀장인 왕지친에 따르면, 중국은 2030년까지 6G를 상용화하고 2025년까지 해당 기술 표준을 정립할 계획입니다.

중국은 2022년에 6G 기술 시험을 시작했고, 2023년에 6G 시스템 아키텍처와 기술 솔루션에 대한 연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이 모든 것이 새로운 모바일 네트워크의 다음 단계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MIIT)는 커버리지와 용량 면에서 유리한 6GHz 대역을 5G 및 6G 네트워크에 할당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23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6G 비전 프레임워크를 승인했습니다. 이 프레임워크는 글로벌 6G 개발을 위한 기반 문서로, 6가지 주요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합니다. 중국 통신사들도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차이나 유니콤은 6G를 위한 잠재적 기술을 모색 하고 있습니다. 류리훙 회장에 따르면, 차이나 유니콤은 2025년까지 6G 기술 연구를 완료하고 초기 사용 시나리오를 모색할 계획입니다. 또한 업계, 학계, 연구 기관 간의 협력을 증진할 계획입니다.

한편, 차이나모바일 가오통칭 부사장은 지금이 6G 핵심 기술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습니다. 차이나모바일은 공개 6G 테스트 검증 플랫폼을 출시하여 업계 파트너에게 시나리오 기반 R&D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및 비즈니스 시나리오 검증을 지원하며, 핵심 6G 기술 연구의 장벽을 낮추고 있습니다.

(신화통신, 중국일보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