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봄이면 부딘리엔의 시 "학자"가 제 마음속에 맴돌며, 품위 있고 존경스러운 노학자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저는 학자들을 늘 존경합니다. 그들이 쓰는 글은 모두 그들의 마음과 영혼에서 우러나온 것이라고 믿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성인의 말씀입니다.
하지만 삶의 터전이 넓어지고 학자들이 실용적인 취미를 즐길 여유가 없어질 때쯤, 그 명예는 기억 속에만 남는 듯합니다. 어떤 이들은 펜을 걸어두고, 어떤 이들은 벼루를 부순다.
5년 전, 고향 친구들과 함께 시장에 갔을 때, 제 눈길을 사로잡고 가장 큰 감동을 준 것은 시장 끝자락에 있는 초라한 오두막이었습니다. 늙은 선비가 대나무 침대 옆에 엄숙하게 앉아 있었습니다. 그의 앞에는 벼루와 붓이 가지런히 놓여 있었고, 그의 뒤로는 봄바람에 나부끼는 서예와 그림들이 있었습니다. 그는 한 시간쯤 그렇게 앉아 있었을 텐데, 손님은 없었습니다. 호기심에 찬 아이들만 멈춰 서서 구경했지만, 어른들은 재촉하며 그들을 재촉했습니다. "빨리 가지 않으면 먹에 얼룩질 거야!" 그 말은 마치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것과 같았지만, 선비는 여전히 시장 구석에 서 있었습니다.
그가 제 고향 사람이 아니라는 건 알아요. 탄호아 시 출신이고요. 그 전에는 미술 학교 선생님이셨죠. 그의 열정, 그리고 어쩌면 책임감 때문에 그는 여러 곳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시장, 사찰 문, 때로는 마을 학교 운동장까지. 터번, 네모난 드레스, 나막신, 그리고 도구 상자를 들고 어디든 옮겨 다닐 만한 큰 사명감이 있었던 건 아니었어요. 그저 그에게 열정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분명 그 열정은 그에게 엄청난 비용을 요구합니다. 그의 개인적인 열정은 마치 벌들이 삶에 꿀을 제공하는 것과 같습니다. 적어도 디지털 시대에 태어난 아이들에게 유교 학자와 현인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은, 비록 부모에게 끌려가더라도 말입니다.
전통 문화의 부흥은 문화계의 주된 책임일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책임이기도 합니다. 공예 장인, 가창가, 대나무 피리 연주자, 혹은 그저 평범한 학자처럼, 모든 사람이 비단을 구성하는 색실과 같습니다.
며칠 전, 고향 시장에 가서 "서예가"가 시장 구석에 아직 묵묵히 서 있는지 기다렸습니다. 낡은 천막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미소가 지어졌지만, 서예가의 얼굴은 더 이상 생각에 잠긴 기색이 없었고, 여전히 침묵에 잠겨 있었습니다. 시골의 많은 사람들은 그가 쓴 2행시나 서예, 때로는 그가 쓴 뜬금없는 글귀에 열광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아니, 어떤 사람들은 그에게 감사의 표시로 직접 돈을 테이블에 올려놓기도 했습니다.
옛날 선비들은 봄기운을 만끽하며 서예를 나눠주고, 서예를 구하는 이들에게 기쁨을 안겨주려 했다고 생각하곤 했습니다. 오늘 시골 시장 한구석에서, 선비의 오랜 인내 끝에 그 모습을 보았습니다.
봄바람에 나부끼는 겹겹이 쌓인 문장과 서예가 인도와 시장 구석구석에서 생생하게 되살아나고 있다. 나는 시 "학자"의 구절을 흥얼거렸다. 해마다 복숭아꽃이 피고/ 나는 다시 늙은 학자를 만난다… 기쁨으로. 부딘리엔이 살아 있다면, 그는 이렇게 슬픈 시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학자는 여전히 거기에 앉아 있다/ 지나가는 사람은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다/ 노란 잎들이 종이 위에 떨어진다/ 밖에는 가랑비가 내리고 있다…
행복
[광고_2]
출처: https://baothanhhoa.vn/ong-do-o-goc-cho-phien-236561.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