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사이드 마켓
할머니께서 생전에 들려주셨던 이야기들이 이제는 제 머릿속 어딘가에 갇힌 듯합니다. 피엠아이 마을에 있는 할머니 댁에서 해변으로 이어지는 곡선 모양의 길이 뻗어 있었습니다. 할머니는 모래로 덮인 해변에 형형색색의 고추, 약초, 수박, 심지어 꽃까지 심어 일곱 자녀를 먹이셨습니다. 해변은 부 지아 강을 따라 이어졌습니다. 해방 후에도 이 일대는 여전히 하얀 모래언덕으로 뒤덮여 있었습니다.
부 지아 강은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한 강은 자오 투이로, 다른 강은 아이 응이아를 거쳐 옌 강과 합류한 후 깜 레로 흘러 한 강( 다낭 )으로 이어집니다. 문화 연구자들은 물과 땅의 이점이 이 지역 사람들의 민첩한 성격과 시대에 적응하는 능력을 결정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송(Ha Song)의 쩐딘(Tran Dinh) 씨 이야기는 꼰강(Con River)이 아홉 갈래로 갈라지는 지점에서 "누가 꼰강으로 돌아가는가/뜨딘(Tu Dinh)이 아직 그곳에 있는지 묻는가?"라는 노래에서 유래합니다. 이 이야기는 민속과 역사서에 전해져 내려오며, 노인들 사이에서도 자주 언급됩니다. 이는 이 땅의 사람들이 나라의 운명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모는 상류로 수백 번이나 여행을 하여 아이 응이아에 상품을 도매로 팔곤 했습니다. 하냐, 벤 다우, 푸 투안, 아이 응이아, 프엉 동… 이모가 사고팔기 위해 들르지 않는 시장은 없었습니다. 농산물에 싫증이 난 이모는 부자 상류에 있는 호이 카치 부두로 돌아가 목재를 거래했습니다. 해방 후, 그리고 이후 지방이 분리되면서 많은 부두에 나룻배와 다리가 더 많이 건설되었습니다. 정박한 나룻배는 나룻배 위에서 평생을 보낸 사람들에게 하나의 이야기가 되었습니다.
다이록 지역뿐 아니라 베트남 땅에 있는 페리 터미널은 대부분 강변 시장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제 고향에는 장거리 페리와 장거리 페리가 모두 있습니다. 그래서 긴 수로를 따라, 북적이는 대형 터미널(그녀가 몇 달 후, 매번 여행을 마치고 돌아와 거리에서의 싸움 이야기를 들려주곤 했던 터미널)을 제외하면, 할머니와 같은 농부들이 타고 내리는 터미널은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일상을 유지하세요
부 지아(Vu Gia) 충적토는 수백 개의 족보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피엠 아이(Phiem Ai) 마을은 1553년 즈엉 반 안(Duong Van An) 박사가 쓴 『오쩌우깐룩(O Chau Can Luc)』에 처음 언급되었기 때문입니다. 할머니 세대, 그리고 제 세대에게 피엠 아이 마을은 20세기까지 그 중요한 사건과는 거리가 멉니다. 마을은 여전히 존재하며, 마을 이름도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다만 강둑만이 침식된 물과 함께 움직였습니다.
수십 년 전 응이아남 마을의 강 부두처럼 말이죠. 어머니께서 처음 결혼하셨을 때, 부두는 집에서 몇십 걸음 떨어진 곳에 있었습니다.
풍습에 따르면, 음력 설날 27일이나 8일이면 어머니께서는 시아버지께서 강가에 가져오실 공양상을 자주 만들어 놓으셨습니다. 어머니는 조수가 평안하고 강가에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셨습니다. 그 흉년 때 어머니께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공양상 위의 닭이나 찹쌀밥이 아니라, 강가에 남겨진 국화 한 송이였습니다. 어머니는 아쉽지만 국화를 다시 가져올 수 없다고 하셨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강가에 공양을 드리러 갔고, 향긋한 향이 고향 강가를 가득 채웠습니다.
약 10년 후, 강둑이 심하게 침식되어 그 집의 기초는 이제 강 한가운데에 있었을 것입니다. 마을 전체가 더 안쪽으로 옮겨졌습니다.
40년 전, 그곳은 밭에 물을 길어 채소에 물을 주고, 집에 물을 길어와 먹고 마시던 부두였으며,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목욕하고 빨래하는 곳이었습니다. 부두는 무너졌고, 기근이 들자 마을 사람들은 부두를 숭배하는 대신 땅을 숭배하는 풍습만 고수했습니다. 옛 부두의 잔해는 이제 강둑에서 가장 넓은 곳에 있는 카누 선착장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1월 보트 경주 때를 제외하고는 웃음소리나 사람들이 오르내리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음력 10월 23일이 지나자 마을 사람들은 국화를 심을 땅을 마련했습니다. 12월 말과 1월 초쯤이면, 이모가 밭을 일구던 외곽 지역의 강둑은 붉은 국화로 온통 물들었습니다. 보라색, 흰색, 빨간색, 분홍색 등 온갖 색깔의 국화가 피어났지만, 할머니가 들려주시던 이야기 속의 그 화려한 국화는 대개 부두로 내려가는 길가에서만 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 시절(그리고 지금도) 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뽕나무를 심었습니다. 숱한 홍수를 견뎌낸 크고 오래된 뽕나무들이 많았습니다. 뽕나무 뿌리에서 데이지를 따 바구니에 담아 자전거나 소달구지에 실어 시장으로 가져갔습니다. 들판에서 풍기는 촉촉한 이슬의 진한 냄새, 데이지의 달콤한 향기를 이모는 기억하는 듯했습니다. 그래서 이모는 매년 몇 줄의 땅을 따로 마련하여 꽃을 심곤 했습니다. 어렸을 때 강가에 있던 데이지는 이제 이모 정원의 화단이 되었습니다.
반세기 전, 할머니는 설날에 콩, 고구마, 채소, 빈랑을 모아서 설날 시장에 가셨습니다. 돌아오는 길에 부모님과 조상님께 제사드릴 국화 한 다발을 꼭 사시곤 하셨죠. 이제 할아버지 차례입니다. 설날이 되면 할머니는 꽃을 수십 송이 사시거나, 이웃들에게 미리 한 다발씩 아껴두라고 말씀하셔야 합니다. "할아버지께서 오시는 날을 위해, 그리고 음력 3일에는 조부모님께 제사를 드리기 위해"라고 어머니는 마치 우리 가족의 전통을 지키라는 듯 말씀하셨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angnam.vn/mua-ngang-ben-cu-314831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