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농촌개발부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2월 현재 우리나라의 총 가금류 사육두수는 약 5억 5,900만 마리로, 육류용 가금류와 산란용 가금류를 포함하여 2022년 대비 3.3% 증가했습니다.
신규 계란 수출은 생산량의 1%를 차지합니다. |
1년 동안 살아있는 가금류 고기 총 생산량은 약 231만 톤으로 추산되며, 이는 전년 대비 6%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3년 가금류 계란 생산량은 192억 2천만 개로 추산되며, 이는 2022년 같은 기간 대비 5.2%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가금류 계란(신선 계란 및 가공 계란)은 전 세계 수십 개국과 지역으로 수출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가금류 계란 수출은 우리나라 전체 계란 생산량의 약 1%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국내 소비용입니다.
베트남은 세계에서 가금류 사육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베트남 가금류 산업에서 생산되는 제품은 주로 국내 소비를 충족하며, 수출 비중은 미미합니다. 베트남 가금류 협회 회장은 2022년 베트남 국민 1인당 평균 계란 소비량이 184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따라서 계란을 낳는 가금류 농업은 여전히 성장할 여지가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계란 소비량은 2030년까지 1인당 25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많은 무역 협정을 체결했고 전통 시장이 다시 열리면서 베트남 계란 산업의 수출 기회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3년 7월 말, 4년여 만에 홍콩 시장(중국)은 금지령을 해제하고 타이닌성, 빈즈엉성 , 빈프억성, 동나이성에서 생산된 계란 및 가금류 계란 제품의 수입을 허용했습니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몽골로의 가금육 및 가금란 수출 협상을 완료했습니다. 몽골의 가금류 사육 비중이 매우 낮은 상황에서, 이는 잠재적 시장입니다. 베트남산 가금란 제품은 이 시장 진출에 많은 이점을 제공할 것입니다.
축산부는 2024년 축산물 생산액이 2023년 대비 약 4.0-5.0% 증가할 것으로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가금류 생산량은 231만 톤으로 3.1% 증가하고, 모든 종류의 계란 생산량은 약 196억 8천만 개로 3.7% 증가할 것입니다.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