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75년이 흘렀지만, 단기간(3개월)에 단 한 과목만 개설하여 교육했던 이 학교의 이야기는 여전히 언론인 세대에 의해 흥미로운 이야기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1949년 4월 초, 호치민 주석의 지시로 타이응우옌성 다이투현 떤타이사 보라촌에 대나무와 초가로 지어진 "후인툭캉 저널리즘 학교"가 정식 개교하여 프랑스 식민주의에 맞선 전쟁의 불길 속에서 탄생한 최초의 저널리즘 교육 기관이 되었습니다.
학교 이사회는 베트민 총국에서 직접 임명했습니다. 이사는 언론인 도득득, 부이사장은 언론인 쑤언 투이였으며, 위원은 언론인 누퐁, 도폰, 투모였습니다. 쯔엉 찐, 보 응우옌 지압, 황꾸옥 비엣, 레꽝다오, 토후, 쑤언 투이, 하쑤언 쯔엉, 응우옌 타인 레, 꽝담, 누퐁, 투 지아이, 부딘호에, 응우옌 반 하이, 쩐 딘 토, 응우옌 후이 뜨엉, 테 루, 응우옌 딘 티, 남 까오 등 많은 유명 혁명가와 언론인들이 수업에 참여했습니다.
문득, 이곳의 아름다운 역사 이야기와 함께 이름을 남길 만큼 행운이었던 학생들이 생각났습니다. 기자 리 티 쭝은 당시 20대 초반의 나이에 열정과 포부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그녀의 동료 학생들은 쩐 끼엔, 히엔 남, 독랍 신문, 응오 퉁, 라오동 신문, 마이 호, 꽌 게릴라 신문, 농 비엣 리엠, 까오방 독랍 신문, 마이 탄 하이, 꾸꾸억 신문 등 다양한 언론인이었습니다.
그녀는 수업이 1949년 4월에 시작해서 1949년 7월에 끝날 때까지 불과 3개월 동안 지속되었다고 말했습니다. Trung 씨에 따르면, 그 수업은 기사를 쓰는 방법뿐만 아니라 출판, 인쇄에 관한 내용도 다루었고, 심지어 식품 안전, 시, 그림, 사격 훈련 세션에 대한 강의도 있었습니다... Trung 씨는 또한 다재다능하고 완전한 저널리스트가 사회 생활의 모든 측면을 이해할 수 있도록 준비시켜 어떤 분야에 대해 글을 쓸 때든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이해를 갖도록 하는 것은 아마도 그 당시 굶주리고, 먹을 것이 충분하지 않고, 입을 옷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보기 드문 독특함이었을 것이라고 털어놓았습니다.
트룽 선생님은 학교 개교 45주년을 맞아 쓰신 시를 낭송해 주셨습니다. "수업 들으러 가던 옛 시절을 떠올리며/칼 한 자루 던진 듯/룩 바 보라에게서/늦은 오후가 되어서야 도착했습니다." 선생님은 목이 메어 말씀하셨습니다. "많은 선생님들이 돌아가셨고/학생들의 마음은 슬픔으로 가득 차고/많은 친구들이 떠나고/그들의 사진을 보며 한 명 한 명이 그리워집니다."
후인특캉 저널리즘 스쿨 학생 리티쭝과 남학생들. 사진 제공: 언론박물관
2. 우리는 후인 툭 캉 저널리즘 학교의 보수 및 복원 사업 옆, 보라(Bo Ra)의 유서 깊은 땅에 섰습니다. 우리의 마음은 끝없는 기쁨과 자부심으로 가득 찼습니다. 유물의 가치와 역사적 위상을 계속 보존하고 홍보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베트남 기자 협회는 보수 및 복원 사업의 추진을 지시했습니다. 머지않아 국가적 역사 유물의 위상에 걸맞은 새로운 모습이 이곳에 나타날 것이며, 이는 전국의 기자들이 간절히 기다리는 의미 있는 표식입니다.
이 유물에 대한 큰 확신과 기대를 품은 기자 판 후 민(Phan Huu Minh) - 전 상임위원회 위원이자 전 베트남 언론인 협회 검사 위원장 - 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탄타이 코뮌, 다이투 구의 누이꼭 호수에 있는 국립 관광 지구 근처에 위치하며, 비엣박 저항 지역의 저항 저널리즘을 전시하고 소개하기 위한 모든 조건이 충족될 것입니다. 냔 단 신문, 인민군, 베트남의 소리 라디오, 베트남 언론인 협회 등의 언론사가 모두 이곳에서 탄생하고 발전했습니다.
이곳은 비엣박 지역의 언론 센터로 여겨질 수 있으며, 향후 전국 각지에서 온 기자들이 저항 언론에 대해 배우는 장소가 될 것입니다. 현재 계획대로 건설이 진행 중이며, 비엣민 본부 건물과 당시 후인툭캉(Huynh Thuc Khang) 언론학교 교사 및 학생 주택 등 3개 건물이 있습니다. 건물들은 산악 건축 양식으로 대나무, 야자나무 잎, 수상 가옥 등 내구성 있는 자재를 사용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베트남 혁명 언론의 날 100주년에 맞춰 완공될 예정입니다. 판 후 민(Phan Huu Minh) 기자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것은 이곳이 기자들을 위한 단기 교육 과정을 복원 및 재건축하고, 호치민 주석의 혁명 언론 사상과 혁명 언론인의 자질을 교육하고 전파하는 장소가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3. 후인특캉(Huynh Thuc Khang) 저널리즘 학교로 돌아가는 것은 우리에게 근원으로 돌아가 사랑하는 호치민 삼촌을 기억하는 것과 같습니다. 호치민 주석은 학생들에게 혁명적 저널리즘을 격려하고, 가르치고, 지도하기 위해 두 차례 편지를 보냈습니다. 편지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었습니다. "…이 수업은 첫 번째 저널리즘 수업입니다. 여러분이 저널리즘 분야의 훌륭한 선구자가 되기 위해 공부하고 연습하기 위해 경쟁하기를 바랍니다. 언론은 또한 '모두 승리를 위하여!'라는 슬로건을 실천해야 합니다!"
2024년 초, 베트남 언론인 협회는 후인특캉 언론학교의 역사적 유물을 복원하고 꾸미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사진: 손 하이
그의 가르침을 고수한 42명의 학생은 대부분 전국 언론사에서 일하는 간부와 기자였으며, 졸업 후 모두 언론인이자 문화예술 활동가로 성장하여 국가의 기둥이 되었습니다. 호치민 주석이 후인 툭 캉(Huynh Thuc Khang)의 언론학 수업에 거는 큰 기대는 문화·이념 분야의 언론인들에게 "사명"과 책임을 맡기고 신뢰했음을 의미합니다. 그 신뢰는 계속해서 퍼져나가며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붉은 실과 같고, 혁명적 언론인들의 헌신의 여정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시대정신은 "모두 승리하라"는 정신으로 결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배우고 실천하는 것"만이 아니라, 후인 툭 캉 저널리즘 스쿨 학장인 도 득 득 기자가 "이 폐막식은 42명으로 구성된 소대가 적과 맞서 싸우기 위해 전선으로 돌진하는 출발이기도 합니다!" 라고 선언했듯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의미 있는 의미를 지닙니다.
75년 전 언론인의 사고방식은 "적과 경쟁하는" 시대의 숨결과 정신을 담고 있었으며, 오늘날 그 정신은 정보와 선전 전선에서의 결단력과 용기입니다. 이것이 바로 언론인의 정신이 될 것입니다. 부정과 부패에 맞서 싸우는 최전선의 용사, 진지하고 신중한 직업 정신으로 "자신을 뛰어넘는" 정신, 윤리 의식 고수, 끊임없는 혁신, 그리고 국민을 위한 봉사… 호 아저씨의 조언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오늘날 언론인들에게 동기와 신념, 그리고 교훈이 되고 있습니다.
하반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