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이상의 협상, 논의, 법적 절차를 거쳐 파리에서의 공개 경매를 중단하고 관련 요구 사항에 대한 합의를 거친 후, 황실 인장은 베트남으로 이관되어 본국으로 송환될 준비를 마쳤습니다.
11월 16일 오후,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관에서 프랑스 밀론 경매회사와 베트남 남홍왕립박물관 간 '황덕지보' 금인 인도식이 진행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응우옌 반 훙,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 딘 토안 탕, 유네스코 베트남 대표단 단장 레 티 홍 반, 프랑스 외무부 , 유네스코 대표단, 응우옌 왕조 후손, 국보 수상자 응우옌 더 홍 씨 가족이 이 행사에 참석했습니다.
베트남으로의 송환을 위한 인도식에 사용된 금인 "황덕지보(黃德治寶)". (출처: VNA) |
이번 행사는 2022년 11월 파리에서 개최되는 '황더치바오' 금인 공개 경매 중단 및 금인 베트남 측 이관 요건에 대한 합의와 관련 법적 절차의 1년여 협상, 논의, 이행의 결과물입니다.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관 특별 임무
이러한 성공은 기능 기관의 리더들의 주의와 긴밀한 지도, 협상 과정에 참여하는 관련 부서, 조직 및 개인의 원활한 조정, 문화체육 관광부와 외무부, 법무부, 재무부, 공안부가 의장을 맡은 학제간 실무 그룹을 돕고 지원한 프랑스의 베트남 커뮤니티, 그리고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관의 특별 조정에 기인합니다.
또한, 프랑스 공화국의 법률에 따라 황금 인장과 관련된 재정 절차를 수행하는 대리인인 박닌 투선의 남홍 왕립 박물관 유한회사의 호의도 언급해야 합니다. 동시에 문화유산법의 규정에 따라 남홍 왕립 박물관의 황금 인장의 가치를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 국립 역사 박물관과 협력하여 보존, 전시를 수행합니다.
"황덕지바오(Hoang De Chi Bao)" 금인(金印) 전달식에서 주프랑스 베트남 대사는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오늘의 성과는 많은 개인과 단체의 기여 덕분입니다. 주프랑스 베트남 대사관은 금인을 베트남으로 다시 가져오기 위한 노력에 기여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금인이 경매될 것이라는 정보를 접수한 지 1년이 넘도록 대사관 직원들은 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베트남과 프랑스 당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연결, 협상, 동원, 설득, 정보 수집을 위해 많은 노력과 인내를 기울여 왔습니다."
딘 토안 탕 대사는 베트남과 주최국 당국, 유네스코와 변호사들의 협조와 조정에 감사를 표하며, 남홍 박물관의 응우옌 더 홍 관장과 그의 가족이 나라와 국가 유산에 품은 마음과 소망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표하는 것을 잊지 않았습니다.
대사에 따르면, 이는 잊을 수 없는 추억일 뿐만 아니라 이 임무에 참여한 모든 사람에게 자부심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2023년 꽃바구니에 또 다른 꽃을 기부했기 때문입니다. 이 꽃바구니는 베트남과 프랑스 관계에서 중요한 이정표인 수교 50주년과 베트남-프랑스 전략적 동반자 관계 10주년을 기념하는 것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문화유산국장인 레티투히엔은 이 행사가 베트남 국민의 훌륭한 문화유산 가치를 보호하는 강력한 연대와 국가적 자부심을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문화 외교를 통해 우리는 귀중한 문화 유산의 가치를 보존하고 증진할 수 있는 역량을 세계에 보여왔으며, 국가 문화 유산의 존중과 온전성을 유지하는 데 헌신하고, 세계 문화 유산에 기여하며, 1970년 유네스코 협약의 적극적이고 책임 있는 회원임을 입증해 왔습니다." 히엔 여사에 따르면, 이 행사는 1945년 11월 23일 호치민 주석이 서명한 베트남 전역의 문화 유산 보존에 관한 법령에 따라 베트남 문화 유산의 날(11월 23일)을 전국적으로 기념하는 맥락에서 진행될 때 더욱 의미가 크다고 합니다. 이는 특히 베트남 국립 박물관에서 보호, 보존 및 홍보되고 있는 응우옌 왕조 왕궁 소장품과 베트남 문화 유산 전반의 완성에 기여할 것입니다.
베트남 대사관 대표 응우옌 더 홍 씨 가문과 응우옌 왕조 후손들이 황제의 금인(金印) 이양 의식에 참석했습니다. (출처: VNA) |
유럽연합, 외무부, 문화부 등 프랑스의 관련 기관을 대표하여, 오늘날의 성과를 이루기 위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과거에도 많은 협상에 참여한 프랑스 외무부 기록 보관소장인 니콜라 치바에프 씨는 응우옌 왕조 금인이 고국으로 돌아온 것을 목격하게 되어 영광이고 자랑스럽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성공에는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관 직원들과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협력하고, 협상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절차를 완료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 프랑스 기관의 중요한 역할과 공헌도 있다고 믿는다. 그 결과 오늘날 베트남 국민을 위한 물질적, 정신적으로 중요한 보물에 대한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단순하고 소박하며 겸손한 응우옌 더 홍 씨는 자신과 남홍 왕립 박물관이 베트남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매우 귀중한 유산인 "황데치바오" 금인을 공식적으로 소장, 보존,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준 기관, 부서, 지부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그는 이 행사가 베트남 국민 전체, 특히 남홍 왕립 박물관에 중요한 행사라고 말했습니다.
"베트남 국민으로서 우리는 항상 우리 민족의 문화 유산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그 가치를 보존하고 보호하며 증진할 책임이 있습니다. 당과 국가의 관심 속에서 황제의 금인 외에도 많은 귀중한 유산들이 베트남으로 계속 반환되어 민족의 문화 유산이 더욱 풍요로워지기를 바랍니다."라고 그는 기념식에서 밝혔습니다.
황금 인장 반환 협상 1년 여정
2022년 9월, 밀론 컴퍼니(프랑스)는 2022년 10월 31일 오전 11시(파리 시간)에 329점의 골동품 경매를 개최한다는 정보를 게시했습니다. 경매에는 응우옌 왕조(1802~1945)의 골동품 2점, 민망왕(1820~1841)의 금인(金印)과 카이딘왕(1916~1925)의 금그릇이 포함되었습니다. 회사 웹사이트에 게시된 정보에 따르면, 이 금인(로트 번호 101/329)은 "황데치바오(Hoang De Chi Bao)" 금인으로 추정됩니다.
이 정보가 공개되자마자, 프랑스 주재 베트남 대사관은 베트남 외교부에 연락하여 이를 확인하고 보고했습니다. 국보인 금인(金印) 환수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각 부처와 관계 기관의 관심과 긴밀한 지도 아래 학제간 실무팀을 구성하여 지원 자원을 확보하고, 신속한 협상 기반을 마련하며, 경매를 중단하고 금인 "황덕지바오(黃得志寶)"를 베트남 측으로 이관하도록 요청했습니다.
당시 남홍 왕립 박물관 주식회사 이사인 응우옌 더 홍 씨는 박닌에 있는 자신의 남홍 왕립 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었던 자신의 개인 소장품을 보충하기 위해 구매를 제안했고, 이 제안은 받아들여졌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남홍 왕립 박물관이 황금인장을 수령하여 베트남 측으로 이관한다는 공약 이행에 참여하고 지원하도록 허용했습니다.
2022년 11월 12일, 문화유산부는 프랑스에서 황제의 황금 인장을 매입하여 베트남으로 가져와 국가에 양도하는 것에 대한 협상에 관한 협정을 Nam Hong Royal Museum Company Limited와 체결하고 허가를 요청했습니다. 이 협정에서 A당사자와 Nguyen The Hong 씨는 황제의 황금 인장이 문화유산법 제43조의 규정을 준수하는 한, 적절한 기간이 지나 A당사자가 더 이상 베트남 박닌에 있는 Nam Hong Royal Museum에서 해당 인장을 소유, 전시 및 홍보할 필요가 없게 된 후에만 문화체육관광부를 통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로 양도될 것임을 개인적으로 약속하고 보장합니다.
이전 비용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협상을 위해 변호사를 고용하는 데 지불한 비용, 프랑스의 Millon Auction House에서 금 인장을 구매하는 비용(관련 세금 및 수수료 포함), 금 인장을 해당 국가로 다시 가져오는 비용(세관 비용, 국제 배송비)입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