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지도자들, 특히 유럽연합(EU)은 시리아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고, 심지어 다마스쿠스 정권과의 관계를 회복하라는 새로운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이민 문제가 유럽의 뜨거운 정치 이슈로 남아 있고, 극우 세력의 부상도 한몫하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바샤르 알 아사드 대통령의 지도 하에서 브뤼셀의 시리아 정책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이탈리아 총리 조르지아 멜로니가 이끄는 극우 반이민 정당인 프라텔리 디탈리아(FdI)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시리아와 외교 관계를 재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오클라호마대학교 중동연구센터 소장인 조슈아 랜디스는 유럽이 결국 이러한 추세를 따라 알 아사드 정부와의 관계를 정상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랜디스 소장은 DW와의 인터뷰에서 "곧 그렇게 되겠지만, 반드시 그렇게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시리아로 다시 "주목"
7월, 시리아 난민의 새로운 물결이 유럽으로 밀려들 위험을 우려한 8개 EU 회원국의 외무장관은 외교안보정책 담당 고위대표인 호세프 보렐에게 EU-시리아 특사를 임명할 것을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습니다.
이 편지에는 "시리아인들은 고국을 대거 떠나 이웃 국가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지역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어 새로운 난민 물결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고 적혀 있다.
이 서한에서는 블록에 시리아에 대한 입장과 정책을 "검토하고 평가"할 것을 촉구하면서 "목표는 보다 적극적이고 결과 지향적이며 효과적인 시리아 정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시리아로 돌아온 많은 사람들이 터키나 레바논 같은 나라로 피난을 떠났습니다. 사진: 게티 이미지
이탈리아는 이 서한에 서명한 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로마는 이제 다마스쿠스와의 공식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움직였습니다. 현재 이탈리아 외무부 시리아 특사인 스테파노 라바냥이 이탈리아의 시리아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외무장관 안토니오 타야니는 이번 조치가 시리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탈리아는 2012년 알 아사드 대통령이 장기 분쟁에 개입한 데 대한 대응으로 독일, 프랑스 등과 함께 시리아와의 관계를 단절했습니다.
뉴욕에 있는 싱크탱크인 센추리 재단의 중동 전문가인 아론 룬드는 "이탈리아는 EU 정책을 조정하기 위한 모멘텀을 만들려고 노력하면서 다른 유럽 국가들이 자신들의 사례를 따르기를 분명히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룬드 씨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마스쿠스 정권과 재협상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유럽 지도자들은 알 아사드 대통령이 관계 정상화의 대가로 EU로 유입되는 시리아인의 흐름을 줄이고 EU 회원국에서 망명 신청이 거부된 후 추방된 시리아인의 귀환을 용이하게 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6월, 독일 총리 올라프 숄츠는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시리아인의 추방을 정부가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는데, 주말에 졸링겐에서 발생한 칼부림 사건으로 3명이 사망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러한 입장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사망한 용의자는 시리아인으로 추정됩니다.
위치가 변경되었습니다
하지만 숄츠 씨가 이러한 조치를 처음 주장한 것은 아닙니다. 2021년,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다마스쿠스 지역이 안전한 귀환지라고 주장하며 시리아 난민들의 영주권 발급을 취소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스웨덴의 보수 정부는 우파와 연합해 있지만, 난민 신청자들을 추방하는 공식적인 정책은 없다. 하지만 이로 인해 난민들이 북유럽 국가에 머무르는 것이 어려워졌다고 스웨덴 유럽 정책 연구소의 이민 전문가인 베른트 파루셀은 말했다.
"그들은 영주권이 아닌 임시 거주권만 제공하면서 거주 허가를 제한하려 했고, 가족 재결합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입국자를 막으려 했습니다." 파루셀은 DW와의 인터뷰에서 이 정책이 시리아 난민 신청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2024년 8월 23일 독일 서부 졸링겐에서 발생한 칼부림 사건으로 3명이 사망한 현장. 사진: 게티 이미지
유럽연합 난민기구(EU Refugee Agency)에 따르면, 작년 EU와 노르웨이, 스위스를 포함한 다른 유럽 국가에서 114만 건의 망명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시리아인은 여전히 가장 많은 망명 신청자 집단으로, 유럽에 18만 1천 명 이상의 망명을 신청했습니다.
해당 기관은 "2023년 시리아인들이 제출한 망명 신청 건수는 2022년 대비 38% 증가해 상당히 많았지만, 여전히 2015년 접수 건수에 비하면 절반에도 못 미친다"고 밝혔습니다. 2015년은 당시 "구대륙"이 겪었던 이주 위기의 정점이었습니다.
유엔 인권 고등판무관 사무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시리아로 돌아온 많은 사람들이 터키나 레바논과 같은 국가로 피난했으며, "시리아의 전반적인 상황은 여전히 그들이 안전하고 존엄하며 지속 가능한 귀환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브뤼셀은 지금까지 시리아의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와 민주적인 권력 이양을 요구하는 공식 정책을 유지해 왔습니다. 중동 전문가 랜디스는 브뤼셀이 정책 변경 여부와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신호를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EU 회원국의 입장이 바뀌었다는 징후는 적지 않습니다.
민득 (DW, 아나돌루)
[광고_2]
출처: https://www.nguoiduatin.vn/chuyen-bien-trong-chinh-sach-syria-cua-eu-204240827154938752.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