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NATO 내부의 '불면증', 일본 국방장관이 한국 군함을 방문, 중국이 미국이 동해의 군사화를 강화할 것이라고 예측,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팀이 우크라이나 분쟁을 종식시킬 계획 등이 지난 24시간 동안 일어난 주요 국제 사건들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11월 5일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 비치의 팜 비치 카운티 컨벤션 센터에서 부인 멜라니아, 아들 에릭, 며느리 라라와 함께 무대에 오르고 있다. (출처: 로이터) |
월드 앤 베트남 신문은 그날의 국제 뉴스 주요 내용을 소개합니다.
아시아 태평양
*중국, 미국과의 안정적인 관계 구축 촉구: 11월 7일,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에게 축하 서한을 보내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양자 관계 구축을 촉구했습니다.
중국 관영 CCTV는 시진핑 주석의 발언을 인용하며, "역사는 양국 모두 협력의 혜택을 누리고 대립의 피해를 입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양측이 대화를 강화하고, 이견을 관리하며, 상호 이익이 되는 협력을 확대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된 이후 첫 메시지에서 중국 지도자는 두 나라가 두 나라와 국제 사회의 공동 이익을 위해 상호 존중과 평화 공존의 원칙을 유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은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중미 관계는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하며 국제 사회의 기대에도 부합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AFP)
*인도네시아 신임 대통령, 중국 방문: 인도네시아의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은 취임 후 2주 남짓 만에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11월 8일부터 10일까지 중국을 방문하여 첫 외국 순방을 펼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외교부의 발표에 따르면, 프라보워 대통령은 국빈 방문 기간 동안 시진핑 주석을 비롯한 중국 고위 관계자들과 회동할 예정입니다. 인도네시아 외교부는 이번 방문이 양국 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여러 분야에서 증진하는 데 있어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다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
*캄보디아 총리, 미얀마 지도자와 회동: 캄보디아 통신사(AKP)는 11월 6~7일 중국, 윈난성, 쿤밍시에서 열린 일련의 회의에 얽힌 틈틈이 캄보디아 총리 훈 마넷이 미얀마 국가행정위원회 위원장인 민 아웅 흘라잉 장군과 11월 6일 양자 회동을 가졌다고 보도했습니다.
회의에서 민 아웅 흘라잉(Min Aung Hlaing) 캄보디아 총리는 미얀마의 전반적인 정치 상황과 다가오는 총선 준비 상황을 보고했습니다. 이에 훈 마넷(Hun Manet) 총리는 미얀마 대통령에게 최신 정보에 감사를 표하고 미얀마의 위기가 가까운 시일 내에 평화롭게 해결되기를 희망했습니다. 또한, 훈 마넷 총리는 포괄적 대화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5개항 합의 이행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스트레이트 타임스)
*필리핀, 미국과의 동맹에 자신감: 미국 주재 필리핀 대사 호세 마누엘 로무알데스는 11월 7일, 필리핀은 남중국해의 긴장 속에서도 도널드 트럼프의 집권 하에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정책과 조약 동맹국에 대한 지원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워싱턴의 양당 간 결의에 따른 것입니다.
로무알데스 대사는 트럼프 대통령 집권 하에서도 작년에 시작된 합동 해상 훈련을 포함한 필리핀과 미국의 협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확신을 표명했습니다. (로이터)
관련 뉴스 | |
독일: 숄츠 총리의 강경한 조치로 '긴장감' 고조, 여당 연합 붕괴, '무정부 상태'와 조기 총선 위기 |
*일본 방위대신이 한국 군함을 처음 방문: 양국 관계가 점차 개선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11월 7일 일본 방위대신 나카타니 겐이 일본에 정박해 있는 한국 군함을 역사적으로 방문했습니다.
환영식에서 나카타니 씨는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시험을 언급하며 "일한 협력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2018년 한국 군함이 일본 초계기에 화기관제 레이더를 조준했다는 의혹 이후 도쿄-서울 관계가 냉각됐습니다. 하지만 윤석열 전 총리가 2022년 5월 취임한 이후 양국 관계는 점차 회복되고 있습니다. (교도통신)
*중국, 미국이 동해 군사화를 심화시킬 것으로 예측: 중국 전문가들에 따르면, 백악관의 리더십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주도하는 동해 군사화는 심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지역의 전략적 상황은 여전히 안정적입니다.
남중국해 전략 상황 탐색 이니셔티브(SCSPI) 보고서에 따르면, 미군은 매년 이 지역에서 약 8,000회의 군사 비행을 실시합니다.
SCSPI 소장인 후 바 교수는 미국과 중국 모두 직접적인 갈등을 피하고 싶어한다고 말했습니다. 필리핀의 경우, 전문가들은 필리핀이 중국에 대한 "저강도" 접근 방식을 계속 유지하면서 미중 경쟁을 이용하여 영토 주장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합니다. (CGTN)
유럽
*이탈리아에 도착하는 불법 이주민 수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11월 6일, 이탈리아 내무부 장관 마테오 피안테도시가 발표한 바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11월 4일까지 55,892명의 불법 이주민이 이탈리아 해안에 도착했는데, 이는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62% 감소한 수치이며, 2022년 대비 36% 감소한 수치입니다.
피안테도시 장관은 올해 현재까지 4,514명의 이주민이 본국으로 송환되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15%, 2022년 대비 34%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정부는 "실제 송환 건수를 더욱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경찰은 지난 2년간 450명 이상의 이주민 인신매매범을 체포했습니다.
같은 날 피안테도시 장관은 EU의 망명 절차 규정에 따라 이탈리아가 2026년까지 국경 국가로서 이주민을 수용하기 위한 8,000개 이상의 지점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하며, 알바니아에 있는 이탈리아가 운영하는 새로운 센터를 언급했습니다. (AFP)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NATO 내부 불안: 포린 폴리시 (FP)지는 NATO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키이우의 갈등에서의 입지가 약화되면서, 이 군사 동맹은 우크라이나의 현재 상황에 대해 점점 더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선에서 승리하면서 우크라이나군(VSU)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는 인식이 동맹 내에서 더 큰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거듭 언급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집권으로 인해 키이우에 대한 향후 지원에 대한 서방 동맹국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NATO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이 동맹의 전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현재 갈등에서 NATO의 오랜 지원 정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FP)
관련 뉴스 | |
![]() | 한국 대통령, 우크라이나 무기 공급 암시, NATO 접촉, 트럼프, 북한 논의 |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 쿠르스크 주에서 처음으로 전투에 참가했습니다. 로이터에 따르면, 북한 군인들이 러시아 쿠르스크 주에서 처음으로 전투에 참가했습니다.
익명의 미국 관리에 따르면, 북한군이 11월 4일 적과 충돌했으며, 이는 북한군이 러시아에서 전투 작전에 참여한 최초의 공식 사례입니다.
공식 관계자들은 북한군 사상자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으며, 사건의 세부 사항에 대한 추가 언급도 거부했습니다. 북한군의 개입 범위와 협력 체계에 대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이 정보는 러시아나 북한 측에서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로이터)
*정치적 불화로 독일 연립 정부 붕괴: 11월 6일 저녁 독일 연립 정부가 붕괴되고 올라프 숄츠 총리가 2025년 1월 15일 신임 투표를 실시하여 2025년 3월로 예정된 조기 총선의 길을 연 직후, 분석가들은 연립 정부에 속한 3개 정당의 기본적인 정치적 신념이 처음부터 서로 양립할 수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올라프 숄츠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당(SPD)과 녹색당은 본질적으로 좌파 정당으로, 강력한 국가를 지향하며 사회 정책과 기후 보호에 막대한 재원을 필요로 합니다. 반면, 경제적으로 진보적인 자유민주당(FDP)은 정반대의 입장을 취합니다. 그들은 예외적인 경우에만 개입하고 재정 긴축을 시행하는 군살 없는 국가를 원합니다. (AFP)
중동-아프리카
*헤즈볼라, 미국 대선 후 휴전 협정에 대한 입장 표명: 헤즈볼라 고위 지도자 나임 카셈은 미국 대선 결과가 헤즈볼라와 이스라엘 간의 휴전 협정 체결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카셈 씨는 "우리는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른 공격의 종식을 기대하지 않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AFP에 따르면, 헤즈볼라 지도자는 전장에서의 실질적인 진전만이 양측 간의 적대 행위를 종식시킬 수 있다고 단언했습니다. 그는 또한 이스라엘이 레바논 영토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면 레바논 정부를 통한 간접 협상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AFP)
*이스라엘 국방장관 해임: 11월 6일, 뉴욕타임스는 이스라엘 총리 베냐민 네타냐후가 국가가 두 전선에서 전쟁을 치르고 있는 와중에 갑자기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을 해임하면서 이스라엘이 국가 안보 불안정의 위험에 직면하게 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네타냐후 총리가 그를 해고하기로 한 결정은 이스라엘 야당 지도자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는데, 그들은 이러한 조치가 개인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국가 안보를 위험에 빠뜨린다고 말했습니다.
해고된 국방장관은 이러한 결정에 세 가지 주요 이유가 있다고 확인했습니다. 즉, 보편적 군 복무를 요구하고, 가자지구에 억류된 인질을 구출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2023년 10월 7일 하마스 공격으로 이어진 보안 실패를 조사할 독립 위원회를 설립해 달라고 요청한 것입니다 . (알자지라)
관련 뉴스 | |
![]() | 중동과의 관계: 새로운 미국 대통령을 위한 전략적 매듭 |
*헤즈볼라, 이스라엘 해군 기지 공격: AFP 통신 에 따르면, 11월 6일 레바논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하이파 인근 해군 기지를 드론과 미사일로 공격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헤즈볼라가 최근 몇 주 동안 해당 기지를 공격한 네 번째 사례입니다.
헤즈볼라는 성명에서 "하이파 북서쪽 스텔라 마리스 해군 기지를 고품질 미사일과 무인 항공기 편대로 공격했다"고 강조했습니다. (AFP)
아메리카 - 라틴 아메리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측, 우크라이나 분쟁 종식 계획 논의: 월스트리트저널 (WSJ)은 11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측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분쟁 종식을 위한 새로운 계획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이 계획에는 휴전과 전선을 따라 비무장지대를 설정하는 등 몇 가지 핵심 사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지역의 안보를 누가 보장할지는 여전히 미지수입니다.
트럼프 측근의 익명을 요구한 한 관계자는 "우크라이나의 평화 유지를 위해 미국인을 파견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비용을 지불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폴란드, 독일, 영국, 프랑스가 그 일을 하도록 합시다." (WSJ)
*쿠바, 허리케인 라파엘로 큰 피해 입어: 11월 6일, 쿠바 정부는 허리케인 라파엘이 최대 풍속 185km/h로 카리브해 섬나라를 휩쓸고 지나간 후 초기 피해 평가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사피르-심슨 허리케인 등급 5단계 중 3단계에 해당합니다.
쿠바의 미겔 디아스-카넬 대통령은 국방위원회 회의에서 지금까지 서부의 마야베케, 아르테미사 지방과 수도 아바나에서 심각한 피해가 기록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초기 추정에 따르면 허리케인 라파엘은 400만 명이 넘는 쿠바 주민에게 피해를 입혔습니다. 라파엘은 허리케인 오스카에 이어 지난 3주 동안 쿠바를 강타한 두 번째로 강력한 허리케인입니다. 쿠바 민방위청은 허리케인 오스카가 쿠바 서부 지역에 상륙하여 최소 8명이 사망하고 수천 명이 대피했으며, 1,000채 이상의 가옥이 파손되고 기타 사회 기반 시설에도 광범위한 피해를 입혔다고 확인했습니다. (로이터)
관련 뉴스 | |
![]() | 도널드 트럼프 승리 -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의 '선거 프로젝트' 대성공 |
*베네수엘라는 미국과의 관계를 정상화하고 싶어한다: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은 11월 7일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를 축하하며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마두로 대통령은 마두로 라이브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양국 관계가 그리 좋지 않았지만, 지금은 새로운 시작을 열 기회입니다. 우리는 미국과 베네수엘라 양국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우리는 항상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도움이 되는 것을 장려합니다."
베네수엘라 대통령도 앞으로 미국과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스푸트니크뉴스)
* 미국, 권력 이양 절차 시작: 2024년 미국 대선 캠페인이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승리로 끝난 지 딱 하루 만인 11월 6일, 미국은 새 행정부로 권력 이양 절차를 시작했습니다.
AP 통신 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권력 이양팀을 구성하여 75일간의 권력 이양 절차에 돌입했습니다. 2025년 1월 20일 취임식을 앞두고 가장 중요한 과제는 국무장관, 내각 구성원 등 주요 직책을 포함하여 새 행정부 내 약 4,000명의 새로운 정부 직책을 임명하는 것입니다.
약 1,200명의 대선 후보가 미국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11월 6일, 전 대선 후보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와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행정부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새로운 행정부 구성원에 대한 계획 수립 외에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전환 기간 동안 매일 정보 보고서를 받기 시작했습니다. (AFP)
[광고_2]
출처: https://baoquocte.vn/tin-the-gioi-711-my-bat-dau-chuyen-giao-quyen-luc-hezbollah-tan-cong-can-cu-hai-quan-israel-chinh-phu-lien-minh-duc-sup-do-292927.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