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혹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벚꽃은 일본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떠오르는 태양의 나라의 문화 외교 전략에서 중요한 도구이기도 합니다.
하나미 축제는 벚꽃이 필 때마다 열리는 일본의 전통 축제입니다. (출처: vietravel ) |
벚꽃( 사쿠라 )은 일본인의 활력, 아름다움, 겸손과 인내심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벚꽃 외교'라 불리는 일본의 문화 외교 전략의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좋아하는 아이콘에서
"문화 아이콘"이란 한 국가나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전통, 그리고 역사적 가치를 지닌 자연적 또는 인공적 요소, 또는 외부에서 흡수되어 자신만의 것으로 변형된 것을 의미합니다. 즉, 축소되거나 농축되어 이미지, 로고, 개인화되고, 쉽게 인식되며,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변형된 것입니다. 일본은 벚꽃, 후지산, 도라에몽, 헬로 키티, 고질라, 피카츄, 호빵맨, 슈퍼 마리오 등 수많은 세계적인 문화 아이콘을 성공적으로 구축했으며, 그중에서도 벚꽃은 가장 오래되고 널리 사랑받고 인정받는 상징 중 하나입니다.
수백 종의 벚꽃이 있으며,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지만, 이 꽃을 언급하면 사람들은 흔히 "벚꽃의 나라"라는 명칭과 함께 일본을 떠올립니다. 벚꽃은 매우 높은 문화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심오한 삶의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비록 연약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순수하고 섬세한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으며, 삶의 무상함이라는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벚꽃은 일상생활뿐 아니라 영혼에도 스며들어 일본 문화 정체성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습니다. 꽃놀이 축제(하나미)는 문화 행사이자 지역 사회 교류의 장이며, 자연과의 친밀함을 통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벚꽃은 또한 일본 문학, 영화, TV, 그림, 그리고 그 외 여러 예술 분야에 등장합니다.
"벚꽃 외교"에
"벚꽃 외교"라는 개념은 "탁구 외교", "판다 외교"와 같은 일부 개념만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이는 일본이 벚꽃을 문화 외교의 도구로 활용하고 국가 "소프트 파워"를 개발하여 세계에 자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알리고, 다른 나라들과 우호 관계를 증진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고, 다른 나라들의 일본에 대한 호감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벚꽃 외교"의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는 일본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일본의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 전 세계 국가에 벚꽃나무를 기증하는 것입니다 .
일본은 20세기 초부터 벚꽃을 외교적 도구로 활용해 왔습니다. 1912년 일본 정부는 워싱턴 D.C.에 3,000그루가 넘는 벚꽃나무를 기증했고, 1956년에는 3,800그루를 추가로 기증하며 양국 우호 관계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2012년에는 이 행사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 14개 주에서 벚꽃 심기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미국에 선물한 벚꽃나무들이 워싱턴 D.C.에 활짝 피어 있습니다. (출처: vigotour) |
2024년 4월 11일,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국회에서 미국 독립기념일 25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이 워싱턴에 벚나무 250그루를 기증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워싱턴의 벚꽃 축제는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는 중요한 문화 행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1972년 가을, 일본과 중국 간의 국교 정상화를 기념하여 일본은 중국에 벚나무 1,000그루를 선물했고, 그 대가로 중국은 일본에 판다 두 마리를 선물했습니다.
일본은 1930년대에 독일, 이탈리아, 캐나다 등 다른 나라에 벚꽃나무를 기증했고, 최근에는 여러 나라에 벚꽃을 기증하여 다른 나라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문화적 정체성이 풍부하고, 우호적이며, 자연과 가깝고, 평화를 사랑하는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베트남은 양국 관계가 급속히 발전하고 문화 및 인적 교류가 점차 강화되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 각 부처, 각계각층, 지방자치단체, 기업, 그리고 개인들이 베트남에 수많은 벚나무를 선물했습니다. 이 벚나무들은 하노이(호아빈 공원), 하이퐁, 사파, 달랏, 호찌민시 등 베트남 전역에 심어져 있습니다.
둘째, 벚꽃 축제를 개최하여 외교관과 외국 손님을 초대합니다.
특별한 경우에 천황(또는 왕세자), 총리, 지방 자치 단체(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는 종종 벚꽃 개화를 맞아 황궁이나 신주쿠 아카사카 황궁 정원의 영빈관에서 리셉션이나 회의를 열고 외교단 등의 손님을 초대합니다(취임 후 자기소개나 오랜 공백 후 대중과의 만남).
일본은 또한 문화를 장려하고, 관광을 유치하고, 소비를 자극하고,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국가의 소프트 파워를 활용하기 위해 매년 국내외에서 수많은 벚꽃 축제(사쿠라 마츠리)를 개최합니다.
베트남에서는 하노이, 호치민시, 하이퐁, 다낭, 광닌 등 여러 지방에서 수십 개의 대규모 전문 벚꽃 축제가 개최됩니다.
셋째, 벚꽃을 아이덴티티로 활용하는 방안을 늘린다.
일본은 패션 페스티벌, 코스프레, 요리, 박람회, 전시회, 미술 전시, 영화제 등 전 세계 문화 행사에 벚꽃 로고와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벚꽃 이미지를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J-POP 음악 등에 활용하고 있으며, 여권, 동전, 지폐에도 벚꽃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벚꽃 외교는 일본이 벚꽃이라는 작은 상징을 활용하여 이 꽃의 아름다움을 세계에 알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외교 관계를 강화하고 국가 위상을 높이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하고, 일본 문화와 국민에 대한 인상을 심어주며, 평화를 사랑하는 우호적인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일본이 지난 수십 년간 성공적으로 추진해 온 소프트 파워의 효과적인 활용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일본 주쿄에 있는 일본-베트남 우호 협회 지도자들은 베트남-일본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하노이에 벚나무 110그루를 선물했습니다. (출처: kinhtedothi) |
그리고 베트남에 대한 제안
베트남과 일본은 문화, 역사, 오랜 교류, 그리고 날로 강화되는 양국 관계 등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역사상 가장 발전된 시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양국 간 다양한 활동, 문화 교류, 그리고 인적 외교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고귀한 아름다움과 강인한 활력을 상징하는 국화 연꽃을 비롯하여 아오자이, 원뿔 모자, 대나무, 모노코드, 심지어 보비남까지 다양한 문화적 상징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베트남은 아직 이러한 문화적 상징의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더 나아가, 연꽃은 다른 나라의 국화이기도 하므로, 베트남은 이 이미지를 독특하면서도 차별화된 방식으로 활용할 전략이 필요합니다.
문화 외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국가 이미지를 홍보하며 평화, 우호, 우정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베트남의 문화적 상징을 통해 국제적인 친구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일본의 성공적인 교훈을 참고하고 다음과 같은 적절한 요점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첫째, 세계적 문화적 상징을 바탕으로 국가 브랜드와 정체성을 구축합니다. 문화, 창조, 디지털 콘텐츠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 가능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며, 국가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기 위한 전반적인 전략의 일환으로 다양한 문화 상품과 서비스를 전 세계에 수출합니다.
둘째,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자긍심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선전에 더 많이 투자해야 합니다. 모든 시민이 문화 대사가 되어야 합니다. 규모와 전문성을 높이고, 국내외에서 국제적인 문화 행사를 만들고, 뛰어난 문화적 상징을 통합해야 합니다.
셋째, 기술, 인공지능, 소셜 네트워크의 발전을 최대한 활용하고, 특히 베트남의 문화적 상징과 국가, 국민, 역동적인 경제 발전 등 베트남의 이미지를 국제 미디어와 영화(CNN, 할리우드, 넷플릭스 등)에 홍보하는 데 많은 투자를 하여 전 세계적인 파급 효과를 창출합니다.
넷째, 일본 및 일부 다른 국가에 베트남 문화 센터, 베트남어 학교, 베트남어 및 문화 연구 부서, 호치민 사상 등을 설립하고, 일본 국제교류기금, 쿨 재팬, 문화부, 문부과학성(MEXT) 장학금, JENESYS 청소년 교류 등을 모델로 국제 문화 교류 기금을 설립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하여 일본과 세계에 베트남을 홍보합니다.
*일본(도쿄) 주재 베트남 대사관과 일본 후쿠오카 주재 베트남 총영사관의 전직 직원.
[광고_2]
출처: https://baoquocte.vn/tu-bieu-tuong-van-hoa-toi-ngoai-giao-hoa-anh-dao-nhat-ban-288501.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