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22일 의료 뉴스: 하노이에서 일주일 만에 뎅기열 발병이 24건 더 발생했습니다.
지난주 하노이에서는 뎅기열 확진자가 403명 더 발생했습니다. 또한 14개 군에서 뎅기열 발병 사례가 24건 더 발생했습니다.
현재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기상 조건과 폭우가 합쳐져 뎅기열을 전파하는 모기의 번식과 발달에 유리한 조건이 조성되었습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의 네 가지 변종, 즉 DEN-1, DEN-2, DEN-3, DEN-4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네 가지 바이러스 변종 모두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하노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주(10월 11일~17일) 하노이 시내 전체에서 뎅기열 확진자가 403명 발생했으며, 이는 전주보다 57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환자는 30개 군, 시, 마을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동다(37명), 바딘(31명), 하동(31명), 탄오아이(26명), 단프엉(23명) 등 일부 군과 마을에서 많은 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주에는 14개 군과 마을에서 뎅기열 발병 사례가 24건 더 발생했습니다.
2024년 초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하노이의 뎅기열 발병 건수는 4,563건이며 사망자는 없습니다. 이는 2023년 같은 기간에 비해 80.4%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난주 하노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일부 발병 지역 모니터링 결과, 여전히 위험 기준을 초과하는 곤충 지수가 기록되었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뎅기열 발생 건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노이의 뎅기열 유행은 여전히 복잡합니다.
현재 뎅기열 시즌이 절정에 달한 가운데, 예방의학부( 보건부 )의 응우옌 르엉 탐 부국장은 수도의 보건 부문이 모기 유충을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전염병 예방 조치를 동시에 시행하기 위해 관련 부서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와 함께 도시는 뎅기열병을 예방하고 퇴치하는 데 부문, 계층, 사회정치 조직의 참여를 동원해야 합니다.
하노이 보건부는 이번 주에 곤충 모니터링 결과가 위험 한계치를 초과하는 지역에서 환경 위생 캠페인, 모기 유충 박멸 캠페인, 성충 모기를 죽이기 위한 화학 물질 살포 캠페인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부대는 감염 사례가 많은 지역, 발병이 복잡한 지역, 고위험 지역에서 질병 예방 및 관리 작업을 검사하고 모니터링하여 상황을 평가하고 적절하고 시기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은 뎅기열을 전파하는 모기가 정체된 공공 연못, 하수구 등에만 산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집트숲모기는 수족관, 꽃병, 바위 정원, 집 정원의 깨진 그릇에 고인 빗물, 골목, 테라스, 건설 현장 등 오랫동안 깨끗한 물이 남아 있는 곳에서 서식합니다. 따라서 이집트숲모기가 번식하고 성장할 수 있는 장소인 정체된 물통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집을 청소하고, 모기의 모든 숨어 있는 곳을 뒤집어 유충을 죽인 다음, 살충제를 뿌려 성충 모기를 죽여야 합니다.
모기를 더 효과적으로 박멸하려면 아침에 살포하십시오. 뎅기열 모기는 낮, 특히 이른 아침과 해가 지기 전에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입니다. 살충제 스프레이는 살포 시점으로부터 6개월 동안 효과가 지속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뎅기열에 한 번 걸리면 다시 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사실이 아닙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의 네 가지 변종, 즉 DEN-1, DEN-2, DEN-3, DEN-4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네 가지 바이러스 변종 모두 뎅기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뎅기열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은 질병 기간 동안 항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성된 면역은 각 바이러스 변종에만 국한됩니다. 환자는 이전 바이러스 변종에는 재감염되지 않을 수 있지만, 새로운 바이러스 변종에는 여전히 감염될 수 있으므로 뎅기열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관해 많은 사람들은 뎅기열에 걸렸을 때 수분 보충 효과가 없고 합병증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코코넛 물이 아닌 전해질만 마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완전히 잘못된 생각입니다. 뎅기열 환자의 경우, 고열이 며칠 연속으로 지속되면 탈수와 체액 손실이 발생합니다. 체액 손실을 보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환자에게 오레솔(Oresol)을 투여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많은 환자들이 오레솔(Oresol) 섭취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코코넛 워터, 오렌지 주스, 자몽 주스, 레몬 주스를 마시면 손실된 수분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의 과일에는 미네랄과 비타민 C가 풍부하여 면역 체계를 강화하고 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진드기열에 주의하세요
최근 108중앙군병원 감염병소생과에서는 다발성 장기 부전 합병증을 동반한 쯔쯔가무시증 환자 2명을 수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했습니다.
환자는 장기간의 발열, 다발성 장기 손상(호흡 부전, 순환 부전, 간 및 신장 손상, 골수 기능 저하) 증상을 보이며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두 사례 모두 하위 의료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치료받았지만, 미생물 감염으로 인한 질병 원인은 발견되지 않아 치료에 반응하지 않았습니다.
환자들은 다발성 장기 부전(호흡 부전, 순환 부전, 간 부전) 상태로 감염내과로 이송되었습니다. 의료진은 진찰을 통해 전형적인 쯔쯔가무시증 궤양을 발견하여 특정 항생제(독시사이클린)와 장기 부전 보조 치료를 병행했습니다. 치료 후 환자들은 호전되었고, 열이 내리고 장기 기능도 점차 회복되어 2주간의 치료 후 퇴원했습니다.
환자가 쯔쯔가무시증에 걸렸을 수 있다는 징후: 환자가 울창한 초목이 있는 산림이나 산악 지역에 살거나 여행하는 경우, 이러한 지역은 진드기 유충이 서식하는 곳입니다.
감염 부위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채 10~14일 동안 지속되는 장기간 발열이 흔합니다.
특히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처럼 습한 부위에 말초 림프절 종대가 나타납니다. 이와 함께 부은 림프절 근처에는 옴으로 인한 전형적인 궤양(둥글거나 타원형의 궤양, 매끄럽고 오목한 표면, 검은 딱지, 통증 없음, 가려움 없음)이 나타나지만, 궤양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의료 전문가에 따르면 진드기열을 예방하기 위한 몇 가지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불필요한 산이나 숲에서의 활동을 제한하세요.
이처럼 위험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일해야 한다면 진드기 유충에 물리지 않도록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몸을 가리는 옷을 입고, 옷과 침구에 살충제를 뿌리고, 공기 중에 살충제를 뿌리거나 피부에 방충제를 바르세요.
쯔쯔가무시증은 리케차 쯔쯔가무시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진드기 유충에 물렸을 때 사람에게 전파됩니다. 이 질병의 전형적인 임상 증상은 발열, 통증과 함께 림프절 부종(주로 물린 부위 주변 림프절에서 관찰됨), 그리고 피부 발진입니다.
흔한 합병증으로는 심근염, 패혈성 쇼크, 그리고 사망에 이르는 다발성 장기 손상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질환은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면 잘 치료되고 회복될 수 있습니다.
소화관에 이물질이 들어가면 얼마나 위험한가요?
2024년 10월 19일, 108 중앙군병원 소화기내시경과는 하장성 박광구 병원에서 이송된 38세 남성 환자를 받았습니다.
환자는 지난 2주 동안 복통과 소화불량을 호소했습니다. 이전 병원에서 시행한 위내시경 검사에서 음식물 찌꺼기로 이루어진 이물질 덩어리가 발견되었지만, 이를 제거하기 위한 처치는 취하지 않았습니다.
환자는 심한 복통과 구토 증상을 호소하며 본과에 내원했습니다. 내시경 검사 결과, 이물질은 위강 내에 검은색의 두꺼운 노란색 음식물 덩어리로, 혈액 순환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료진은 즉시 특수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물 덩어리를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이물질을 "찢었습니다".
다행히 환자는 조기에 발견되어 이물질이 궤양이나 위출혈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았습니다. 시술 후 환자는 안정을 취했으며, 집에서 추적 관찰하도록 지시받았습니다.
병력 조사 결과, 환자는 최근 장기간, 특히 배가 고플 때 집에서 재배한 야생 얌을 꿀과 함께 대량으로 먹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얌은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중 하나이며, 감, 구아바, 무화과, 죽순 등 섬유질과 타닌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면 소화 과정에서 음식 잔여물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배가 고픈 상태에서 먹으면 위가 비어 있기 때문에 쉽게 침전되어 식물 섬유가 서로 달라붙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커지는 단단한 덩어리를 형성하여 환자에게 복부 팽창, 소화 불량, 복통, 메스꺼움 및 구토, 마찰 및 압박 부위에 궤양이 생겨 위장 출혈, 장폐색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섬유질과 타닌이 많이 함유된 음식의 섭취를 제한해야 하며, 특히 배가 고플 때는 먹지 않고 천천히 먹고, 꼭 씹어서 먹고, 물을 많이 마셔야 합니다.
실수로 큰 조각의 음식을 삼키거나 끈적끈적한 물질을 먹은 후 복통이나 메스꺼움을 느낀다면, 이물질을 일찍 발견하고 원치 않는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평판이 좋은 의료 시설을 찾아야 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