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지역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내연기관의 단계적 폐지 시한은 10년도 채 남지 않았지만, 진전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유럽 연합이 주도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소형 저가 전기차 양산에 집중하며 세계 최대 전기차 생산국으로 도약했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진전이 더뎠습니다.
전기차(EV) 도입의 걸림돌은 기술 혁신이 아니라 인프라 전환 비용입니다. 충전 네트워크가 완전히 구축되고 배터리 기술이 완성될 때까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계속해서 우선시될 것입니다. 이는 장거리 운송과 같이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 분야에서도 전기차 도입을 제한합니다.
전기 자동차 도입을 가로막는 장벽은 기술 혁신이 아니라 인프라 전환 비용입니다. 전기차(EV)로의 전환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아키텍처 도입을 촉진했는데, 전기차는 이러한 플랫폼을 통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전기차에 SDV 기능이 도입됨에 따라 두 기술 모두 시장 침투가 가속화되었으며, 특히 연간 판매량, 생산 능력, 전기차 보급률 측면에서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2024년까지 중국의 전기차 판매량은 전 세계 판매량의 7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출처: 중국 승용차 협회).
그러나 새로운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진전을 이루는 반면, 기존 OEM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세실 로이슨 여사 - 키사이트 테크놀로지스의 전략 기획,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솔루션 부문 이사. 5G를 둘러싼 초기의 과대광고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산업은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으로의 전환의 일환으로 무선 네트워킹을 점차 수용해 왔습니다. 5G, 그리고 6G 기술이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OTA(Over-The-Air)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생산 후 차량에 기능 추가가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업데이트와 서비스를 지원하는 텔레매틱스 제어 장치(TCU)를 통해 향후 몇 년은 SDV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가 될 것입니다.
OEM 업체들에게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은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간 동안 새로운 정기적인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핵심 과제는 소비자들이 "일회성" 차량 구매 모델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와 새로운 기능을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구독" 모델로 전환하도록 설득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차량의 신뢰성, 안전 및 보안을 보장한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이 모델의 광범위한 채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생산 중인 차량들은 이미 다양한 수준의 자율주행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대부분의 차량은 이미 레벨 2 또는 레벨 2 이상의 기능을 갖추고 있고, 일부 고급 차량은 이미 레벨 3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율주행차를 둘러싼 안전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결과적으로 자동차 업계는 이제 완전한 자율주행을 추구하기보다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의 소규모 발전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ADAS는 센서와 카메라를 포함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하여 주변 장애물이나 운전자의 실수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대응함으로써 차량과 도로의 안전을 향상시킵니다. 이 시스템은 완전 자율주행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촉매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여전히 업계의 장기적인 목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AI)은 현대 자동차가 생성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계 및 성능을 개선하는 데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안전성 및 신뢰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는 AI 도입은 제한적일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업체는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에 사용되는 AI 알고리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AI를 활용할 것입니다. 이는 자동차 산업에서 AI 활용을 감시하는 "AI 경찰"의 필요성을 야기할 것입니다.
켄 혼(Ken Horne) -
Keysight Technologies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 솔루션 부문 전략 기획 이사.
더 나아가, 교통 수단과 서비스를 온디맨드 서비스로 통합하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모델이 교통의 미래로 여겨집니다. 초기 몇 차례의 실패 이후, 이 전략은 피닉스, 밀턴 케인스, 비엔나, 헬싱키, 싱가포르와 같은 단순한 그리드 기반 도시에서 시범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이후 샌프란시스코, 런던, 파리, 도쿄, 홍콩과 같은 더 복잡한 도시 지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성공에 있어서 디지털 트윈을 종단 간 측정에 적용하는 것은 매핑, 예측 분석, 실시간 네트워크 모니터링, 예측 유지 관리 및 양방향 정보 흐름을 통해 도시 교통의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운송 서비스 제공업체는 예측 가능성을 개선하고 투자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전기차 산업이 순환 경제를 촉진하고 배터리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것입니다. 내연기관 기술이 배기가스 감축을 위해 단계적으로 폐지됨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재활용 및 재사용 가능성을 활용할 것입니다. 광범위한 재활용 인프라를 갖춘 유럽과 중국이 이러한 흐름을 선도할 것입니다. 다른 지역에서는 순환 경제 도입이 더욱 복잡한 과제에 직면할 것이며, 그 속도가 둔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발전과 혁신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기술은 여전히 지속적인 시험과 개선이 필요합니다. 용량, 무게 또는 비용 개선을 목표로 새로운 배터리 화학 물질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
공급망 전반에 걸쳐 배터리 팩 설계 및 제조 공정에서도 혁신적인 개선이 예상됩니다. 새로운 배터리 기술과 화학 물질은 새로운 테스트 요건을 생성하고, 기존 방법론에 도전하며, 더욱 발전된 AI 알고리즘과 예측 데이터 분석의 통합을 요구합니다.
마지막으로, 재생에너지는 널리 채택되기 전에 극복해야 할 한계점들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특히 산업용 에너지 저장의 어려움과 다양한 전력원 조합의 필요성은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높은 에너지 유연성과 강력한 탈탄소화 잠재력을 지닌 수소는 청정 에너지 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수소의 잠재적 활용 연구를 촉진할 것입니다.
켄 혼 - 세실 로이슨
출처: https://doanhnghiepvn.vn/cong-nghe/dinh-huong-phat-trien-phuong-tien-van-tai-chay-dien-duoc-dinh-nghia-bang-phan-mem/20250717035751483
댓글 (0)